국내 맥주시장, 가정용이 유흥용 '추월'
[소비자가만드는신문=이경주 기자]국내 맥주시장에서 가정용 비중이 유흥용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회식 문화가 간소화되고 집에서 가볍게 주류를 즐기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는 데 따른 결과라는 분석이다.
27일 한국주류산업협회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맥주시장에서 가정용의 비중은 50.3%로 연간 기준으로 사상 처음 유흥용(49.7%)을 0.6% 포인트 앞섰다.
올해 들어서도 1분기에 가정용 비중이 50.4%로 유흥용(49.6%)을 0.8%포인트 앞서 간극이 더 벌어졌다.
이 같은 결과는 과거 3차까지 이어지던 과도한 회식문화가 간소화되고, 가정에서 간단히 주류를 즐기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게 업계의 분석이다.
또 경기 불황에 캠핑 등 주말 야외활동이 늘어난 것도 가정용 맥주 소비를 늘린데 한몫 한 것으로 보인다.
가정용 맥주는 업소 주인이 대체로 브랜드를 결정하는 유흥용과 달리 소비자가 직접 자신이 마실 제품을 선택한다.
이런 특성이 있는 가정용 맥주 시장이 커지면서 맥주 브랜드들도 소비자들의 선택을 받고자 다양한 마케팅 활동에 나서고 있다.
특히 수입 프리미엄 맥주 브랜드들은 가정용 맥주 시장 확대기를 기회로 삼아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에서 대대적인 할인 이벤트를 전개하는가 하면, 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고객과 적극적으로 소통을 시도하고 있다.
덕분에 전체 맥주시장에서 수입 프리미엄 맥주가 차지하는 비중은 시간이 갈수록 커지고 있지만, 아직 5% 안팎에 불과하다.
연간 판매량이 100만 상자 이상인 브랜드는 버드와이저, 아사히, 하이네켄, 호가든 등 4개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