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회용 콘텍트렌즈 착용 주의보

2013-06-29     장지현 기자
[소비자가만드는신문=장지현 기자] 최근 미용 목적으로 착용하는 콘택트렌즈 부작용이 급증해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29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식약처의 허가를 받은 일회용 소프트 콘택트렌즈는 2010년에 60건에 불과했으나 2011년에 71건으로 18.3% 증가했다.

보청기(2010년 265건→2011년 193건)와 개인용 온열기(2010년 40→2011년 36건) 등의 허가 건수가 각각 27.1%, 10% 하락한 것과 대조적이다. 이는 청소년들 사이에 미용 목적의 컬러 렌즈 수요가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착용 부작용도 급증하고 있다.

대한안과학회가 지난해 10월 말 공개한 콘택트렌즈 부작용 환자 분석 자료를 보면, 2008년 10월~2010년 5월 전국 22개 의료기관에서 치료받은 환자 499명 가운데 33%(164명)가 10대 청소년이었다. 심지어 초등학생과 중학생도 37명이나 됐다.

이렇게 부작용을 겪은 10대 청소년의 47%는 컬러 렌즈를 사용했다. 이들 중에는 자신이 쓰던 컬러 렌즈를 학교 수돗물에 씻어 친구들과 바꿔 사용하다 염증이 생겨 시력이 크게 떨어진 일도 있었다.

컬러 렌즈는 기존 렌즈의 전면과 후면 사이에 염료를 넣어 색을 입힌 것이다. 일반 콘택트렌즈에 견줘 산소 투과력이 떨어져 6시간 이상 장시간 착용하면 안구 건조증, 각막염 등에 시달릴 수 있다.

식약처는 20대 여성은 물론, 청소년까지 컬러 렌즈를 의료용구가 아닌 미용 소품으로 인식하고 패션 용도로 착용, 부작용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면서 사용시 주의를 당부했다. 렌즈를 끼고 자거나 장시간 착용할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