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그룹 중 17개, 차입금 의존도 30% 넘어 '위험' 수위

2013-08-21     김건우 기자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 500대 기업의 평균 차입금 의존도가 ‘위험’ 경계 수위인 30%에 육박, 자금 사정에 ‘빨간불’이 켜진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30대 그룹 중 절반이 넘는 17개 집단의 차입금의존도가 30%를 넘어섰고, 18개 그룹은 1년 전보다 차입금 의존도가 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기업경영성과 평가 사이트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500대 기업 중 지난 3월 분기보고서와 사업보고서를 제출하고 작년 1분기와 비교가 가능한 297개사의 차입금의존도를 조사한 결과, 이들 기업의 총 차입금은 578조 원, 자산은 1천959조 원으로 29.51%를 기록했다. 보통 안전 수준으로 보는 ‘30% 이하’의 경계선까지 근접한 셈이다.

이는 1년 전인 지난해 1분기 말의 29.11%에 비해 0.4%포인트 악화된 수준이다.

차입금 의존도는 총자산(부채 및 자본 합계)에서 차지하는 차입금 비중을 백분율로 표시한 재무지표로 기업 재무구조의 건실도와 수익성을 가늠하는 지수로 활용된다. 100에서 수치가 낮을수록 수익성·자산구성 등이 좋은 것으로 평가되며, 보통 30% 이하를 안전한 수준으로 평가한다. 차입금은 장·단기차입금과 기타차입금, 사채 등 이자를 고정적으로 지불해야 하는 부채 값이다.

이처럼 500대 기업의 차입금의존도가 높아진 것은 경기불황으로 기업들의 수익이 급감해 현금유동성이 계속 악화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조사대상 297개 기업 중 차입금 의존도가 30%를 넘는 곳은 전체의 46%인 137개에 달했고, 1년 새 차입금 의존도가 높아진 기업 역시 절반을 조금 넘는 160개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글로벌 경기침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운송업의 차입금의존도가 가장 높아서 무려 48.9%에 달했다. 1년 새 1%포인트나 상승했다.

다음은 공기업(38.7%) → 조선·기계·설비(35.3%) → 상사(35.1%) → 철강(34.9%) → 에너지(32.5%) → 통신(32.0%) → 석유화학(30.1%) 등으로 9개 업종이 30%를 넘어 악화된 자금 흐름을 반영했다.

500대 기업에 속한 30대 그룹 계열사로만 좁힐 경우 상장사가 없는 한국GM과 부영 2개를 제외한 28개 그룹의 차입금 의존도 역시 27.84%로 1년 전(27.77%)보다 0.07%포인트 소폭 상승했다.

28개 그룹 중 18개는 작년보다 차입금의존도가 높아졌고, 그룹 전체로 차입금의존도가 30%를 넘는 곳도 17개에 달했다.

기업별로는 극심한 경기불황을 겪고 있는 해운업, 운송 등의 차입금의존도가 심했다.

SK해운의 차입금의존도가 무려 86%에 달했고, 한진해운과 현대상선도 각각 77.8%, 70.8%에 달해 해운3사가 나란히 ‘톱3’를 차지했다.

이어 대성산업(70.4%) → KT렌탈(69.6%) → 대한전선(68.2%) → 무림페이퍼(61.6%) → 포스코플랜텍(61.5%) → 한국가스공사(61.4%) → 삼선로직스(60.0%) 등이 해운 3인방과 함께 ‘톱10’을 형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