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사태 책임 전임자 최기의, 신충식 전 사장도 징계 받을까?
사상 초유의 개인정보 유출사태 여파로 카드사 최고경영자(CEO)들이 줄줄이 옷을 벗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사고 당시 재직했던 관련자들에 대해서도 칼날을 세우고 있어 전직 경영진도 중징계를 면치 못할 것으로 보인다.
22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이르면 내달 제재심의위원회 등을 열고 대규모 개인정보가 유출된 카드3사 경영진과 임원에 대한 징계 수위를 결정할 예정이다. 금융당국은 이들 금융사의 현직 임직원을 비롯해 정보유출 당시 몸 담고 있었던 전직 경영진도 제재할 방침이다.
검찰에 따르면 신용정보업체 코리아크레딧뷰로(KCB) 직원은 2012년 10월부터 12월 사이 약 2천500만 명의 NH카드 개인정보를 빼돌렸고 작년 6월에는 국민카드 고객 5천200만 명, 작년 12월에는 롯데카드 고객 2천600만 명의 인적사항을 빼냈다.
지난 19일 고객정보 유출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의를 표명한 심재오 KB국민카드 사장은 이번 사건이 발생한 이후인 작년 7월 22일 취임했으며 개인정보 유출 시점에는 수장이 최기의 전 사장이었다. 최기의 전 사장은 현재 퇴직한 상태로 작년 말 미국, 브라질 등으로 여행을 마치고 최근 귀국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이 전직 경영진에 대한 중징계도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밝힘에 따라 고객정보 유출건수가 가장 많은 국민카드의 경우 최기의 전 사장이 해임권고 상당의 제재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이미 임기가 만료된 상황이라 중징계 처벌을 받아도 인사상 불이익이 없어 금융당국의 제재가 실효성이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해임권고 등 중징계를 받으면 5년간 타 금융회사로 가지 못하고 인사기록카드에 다 남아서 다른 곳에 갈 때도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현행법상 금융사 임원에 대한 징계는 주의, 주의적 경고, 문책경고(감봉), 직무정지(정직), 해임권고(면직) 등 5단계로 나뉘며 문책경고 이상 중징계를 받으면 최소 3년 이상 금융회사에 재취업할 수 없다.
농협카드 역시 사퇴한 손경익 사장은 카드 분사장으로 있다 작년 12월 부행장으로 승진했으며 고객정보 유출 당시엔 신충식 전 농협은행장이 최고 책임자로 있었다.
두 곳과 달리 정보유출 이전부터 회사를 끌어왔던 박상훈 롯데카드 사장은 임원 8명과 함께 가장 뒤늦게 사퇴 의사를 밝혔다.
일각에서는 카드사 CEO들의 줄사퇴를 두고 사실상 책임이 없는데 사태수습만 어렵게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경영진의 일괄 사표 제출과 관련해 ‘인사권자’인 임영록 KB금융지주회장은 사퇴 수습 후 책임 있는 사람부터 선별적으로 수리 여부를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국민카드 관계자는 “심재오 사장의 사표 수리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 나오는 얘기가 없다”고 말했다.
임영록 회장과 달리 임종룡 NH농협금융지주 회장은 손경익 사장의 사표를 즉각 수리했다. 빈자리에는 금융지주 허식 상무를 특파해 '카드비상대책단' 단장을 맡겼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 = 김미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