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개 숙인 발기약 매출..'비아그라', 한미약품 '팔팔'에 눌려 시들

2014-02-24     변동진 기자
발기부전치료제 시장의 절대 강자로 불렸던 화이자의 ‘비아그라’가 한미약품(대표 이관순) ‘팔팔’에 2위 자리를 내주며 자존심을 구겼다. 반면 라이벌 릴리의 '사일리스'는 큰 변동없는 매출을 유지하며 왕좌를 지켰다. 그러나 전체 발기부전약 시장은 정체기에 접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이 IMS데이터를 바탕으로 국내 발기부전치료제 시장을 분석한 결과 ‘시알리스’(타다나필)는 지난해 3분기까지 142억 원의 매출을 올리며 시장 1위를 수성했다.

한미약품 팔팔은 지난해 3분기 누적 기준 81억 원의 매출을 올리며 오리지널 비아그라를 누르고 시장 2위로 우뚝 섰다.

2011년 300억 원 이상의 매출을 올리며 절대강자로 군림하던 비아그라는 2012년 6월 특허 만료 이후 매출이 급감하면서 3위로 밀려났다. 지난해 3분기까지 누적 매출은 78억 원으로 쪼그라들었고 연 매출도 100억 원에 머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발기부전치료제 시장 현황

 

 

회사명

대표

제품명

`12년 3분기

`12년 4분기

2012년 총합

`13년 1분기

`13년 2분기

`13년 3분기

2013년 총합

 

 

 릴리 

 폴 헨리
휴버스 

 시알리스 

         4,684

         4,987

       20,623

         4,716

         4,727

         4,753

       14,196

 

 

 한미약품 

 이관순 

 팔팔 

         1,860

         2,375

         4,894

         2,526

         2,732

         2,848

         8,106

 

 

 화이자 

 이동수 

 비아그라 

         3,106

         3,051

       17,723

         2,720

         2,536

         2,595

         7,850

 

 

 동아ST 

 김원배 

 자이데나 

         2,534

         2,528

       11,899

         2,236

         2,168

         2,061

         6,465

 

 

 SK케미칼 

 김철 

 엠빅스S 

           982

         1,091

         4,058

         1,229

         1,310

         1,339

         3,878

 

 

 대웅제약 

 이종욱 

 누리그라 

           416

           391

         1,050

           370

           416

           440

         1,226

 

 

 CJ 

 곽달원 

 헤라그라 

           282

           320

           691

           311

           306

           315

           933

 

 

 근화제약 

 이주형 

 프리야 

           239

           265

           559

           288

           272

           291

           851

 

 

 SK케미칼 

 김철 

 엠빅스 

           232

           249

         1,276

           225

           288

           266

           780

 

 

 삼진제약 

 이성우 

 해피그라 

           166

           221

           419

           245

           236

           245

           726

 

 

 JW중외 

 이경하 

 제피드 

           345

           290

         1,966

           216

           171

           135

           522

 

 

총합

       16,641

       17,749

       70,746

       17,113

       17,244

       17,449

       51,806

 

 

 출처 : IMS데이터, 소비자가만드는신문 재구성/ 단위 : 백만원 


토종 발기부전치료제 동아ST(대표 김원배)의 '자이데나'가 64억6천 만원의 매출로 4위를 차지했고 SK케미칼의 '엠빅스S'(38억8천 만원), 대웅제약 '누리그라'(12억3천만 원)가 뒤를 이었다.

이어 CJ '헤라그라'(9억3천만 원), 근화제약 '프리야'(8억5천만 원), SK케미칼 '엠빅스'(7억8천만 원), 삼진제약 '해피그라'(7억2천만 원), JW중외제약 '제피드'(5억2천만 원) 순이었다. 


2012년 707억 원까지 성장했던 발기약 시장은 518억 원으로 파이가 줄면서 정체기를 맞고 있다. 

지난 2012년 1분기 58억 원의 매출을 올린 시알리스는 비아그라 복제약 출시 이후 매출이 떨어지면서 분기 매출이 47억 원대로 줄었다. 출시 이후 폭발적인 성장을 거듭했던 팔팔 역시 지난해 2분기부터 성장세가 둔화됐다.

자이데나도 지속적인 하락을 거듭하고 있어 연 매출이 100억 원도 어려운 상황이다.

또 다른 국산 발기약 SK케미칼의 엠빅스S(필름형)는 조금씩 성장하고 있지만 엠빅스(정제)의 경우 오르락내리락을 반복하며 정체하고 있다.

이밖에 대웅제약 누리그라, CJ 헤라그라, 근화제약 프리야, 삼진제약 해피그라, JW중외제약 제피드 등도 10억 초반 또는 그 이하에 머물면서 쓴잔을 마셨다.

이에 대해 업계 관계자는 “시장이 정체로 성장이 둔화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불법유통 또한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다”고 설명했다.

한편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정록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12년도 유통된 발기부전치료제는 약 2천687만 정으로 금액으로는 약 1천253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변동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