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복업체, 정부의 판매가 인하 권고에 AS중단으로 맞서?
새 학기가 시작된 지 한 달이 지났지만 교복 관련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 교복가격 상한제를 권고하는 등 교복단가를 낮추기 위한 시도가 계속되고 있지만 업체들이 수선을 회피하는 등의 서비스 축소로 맞선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업체 측은 “단가 하락 때문에 수선을 해줄 수 없다는 뜻이 아니라 대리점 입장에서 제품 판매가가 낮아져 힘들다고 하소연했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4일 충남 천안시 서북구 두정동에 사는 이 모(여)씨에 따르면 그는 중학교 1학년에 입학하는 자녀를 위해 지난 2월 엘리트학생복에서 20여만 원에 교복을 구입했다.
한 달여 후 교복재킷의 주머니 앞 단이 2cm 가량 찢어져 수선하고자 구입처를 찾은 이 씨. 주변 학부모들로부터 기본적인 수선이나 AS는 대리점에서 가능하다는 이야기를 들은 터라 방문했다.
그러나 대리점 측에서는 황당한 이야기를 꺼냈다. 올 1학년부터 정부 권고에 따라 교복단가를 내린 상태로 판매했기 때문에 어떠한 수선도 해줄 수없다는 것.
본사 AS팀에라도 보내달라고 사정했지만 “택배 보내고 받는 과정이 복잡하다”, “제작할 때는 천이 있지만 현재는 없을 수 있다”는 등 갖은 핑계를 대며 수선 책임을 회피했다고.
대리점에서 해결을 보지 못하고 결국 엘리트학생복 고객센터에 문의했지만 대리점과 비슷한 답밖에 들을 수 없었다.
상담원은 “수선은 대리점 권한이고 대리점에서 그렇게 얘기했다면 본사도 마찬가지 입장”이라며 짜증 섞인 투로 응대했다는 게 이 씨 주장이다.
이 씨는 “교복 살 때는 AS가 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대해서 전혀 듣지 못했다”며 “20여만 원을 주고 샀는데도 불구하고 가격을 낮춰 판매했다고 기본적인 AS도 되지 않는다는 게 말이 되지 않는다”며 기막혀했다.
이에 대해 엘리트학생복 관계자는 “해당 대리점에서는 판매가가 낮아져 힘들다고 하소연한 것일 뿐 단가 하락 때문에 수선 불가라는 이야기는 하지 않았을 뿐더러 수선에 관해서도 상세하게 설명해드린 것으로 확인됐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어 “전국 대부분 대리점에서 단순한 누빔 수선, 소매단 줄임 등 수선은 해결 가능하지만 이번 사례처럼 앞판교체 등 난이도 있는 작업의 경우 대리점과 본사 협의 후 본사 공장을 통한 진행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 씨는 “1학년부터는 교복단가가 낮아 수선을 해줄 수 없다는 이야기를 분명히 들었다”며 “수선이 가능하고 설명만 제대로 해줬다면 이렇게까지 얼굴 붉힐 일이 있었겠느냐”고 반박했다.
또 다른 교복업체 관계자는 “교복 가격도 물가상승률을 감안해 소폭 상승했지만 교육부 최고가 상한제에 따라 대리점 측에서 가격을 인하해 판매했을 수 있다”면서도 “기본적으로 AS규정이 있을 텐데 가격을 인하했다고 AS에서 제외하는 것은 문제 소지가 있어 보인다”고 설명했다.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조윤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