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차 내수 점유율 80%선 무너졌다...신차 효과 무색?
1일 공시된 3월 국내 완성차 업계 판매량에서 올해 처음으로 현대·기아자동차의 내수시장 점유율이 80% 이하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신형 제네시스, LF쏘나타 등 신차가 연이어 모습을 드러냈지만 예상보다 신차 효과가 두드러지지 않았다.
업계에 따르면 3월 한 달간 내수 시장에서 국산차 업계는 총 12만1천416대가 판매됐는데 그 중 현대차는 5만7천812대, 기아차는 3만9천5대의 판매고를 올려 각각 47.6%, 32.1%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특히 현대차의 점유율 하락이 눈길을 끌고 있다. 현대차는 연초부터 공격적인 신차 라인업을 공개하고 있지만 1월 48.4%, 2월 48.0%, 3월 47.6%로 내수 시장 점유율이 내리막길을 걷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 11월 출시한 제네시스의 신차효과가 생각보다 크지 않았다는 분석이다.
기아차 역시 2월에 32.7%로 소폭 반등했지만 3월 점유율에선 32.1%로 다시 뒷걸음질쳤다. 현대·기아차 통합 점유율 역시 지난 해 12월 73.8%로 연중 최저치를 찍은 이후 1월 80.4%, 2월 80.7%를 기록하며 반등했지만 3월엔 79.7%로 80%선이 무너졌다.
신차효과가 두드러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에 현대차 측은 LF쏘나타는 3월 판매량에 포함시키지 않았고 4월부터 실적이 좋아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반면 현대·기아차와 달리 한국지엠은 순풍을 타고 있다. 말리부 판매량이 한 달새 60% 이상 늘어난 한국지엠은 '말리부 디젤 효과'를 톡톡히 보면서 점유율 10.8%를 기록했다.
쌍용자동차와 르노삼성자동차는 각각 4.8%와 4.6%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 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