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관피아’ 사외이사 더 늘렸다...10명 중 4명꼴로 관료 출신

2014-06-25     조윤주 기자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관피아에 대한 사회적 비판여론이 거세지만 대기업 그룹의 바람막이용 권력기관 출신 사외이사 선호도는 되레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49개 그룹 사외이사의 관료 출신 비중은 37%로 전년보다 2%포인트 높아졌다. 이중 법원·검찰을 비롯해, 국세청, 공정거래위원회, 감사원 등 기업 경영과 밀접한 4대 핵심 권력기관 출신이 60% 이상을 차지했다.

 

25일 기업경영성과 평가사이트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상호출자제한 49개 기업집단 238개 상장사의 사외이사(1분기 보고서 기준) 출신 이력을 조사한 결과 총 750명 중 36.9%277명이 관료 출신인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과 비교해 전체 사외이사 수는 7명 줄었지만, 관료 출신은 268명에서 9명이 늘었다. 관료 출신 사외이사 비중도 35.4%에서 1.5%포인트 상승했다.

 

관피아 역풍이 거세지만 대기업들조차 각종 규제 등 공권력에 대한 방어 수단으로 권력기관 출신 관료들을 대거 영입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사외이사가 대주주 일가의 독단경영과 전횡을 차단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지만 기업이 오히려 외풍을 막는 바람막이로 악용하는 셈이다.

대기업 그룹 관료 출신 사외이사 현황

출신 분류

2014

2013

비중

증감

관료 내

비중

비중

관료 내

비중

4

권력

기관

법조

84

11.2%

-0.4%p

30.3%

88

11.6%

32.8%

세무

50

6.7%

1.1%p

18.1%

42

5.5%

15.7%

공정위

24

3.2%

0.2%p

8.7%

23

3.0%

8.6%

감사원

15

2.0%

0.4%p

5.4%

12

1.6%

4.5%

기타관료

104

13.9%

0.3%p

37.5%

103

13.6%

38.4%

소계

277

36.9%

1.5%p

 

268

35.4%

 

사외이사 계

750

757

출처 : CEO스코어 / 사외이사는 20141분기 보고서 기준

 

특히 올 들어 대기업 사외이사는 국세청(관세청)과 감사원 출신이 11(20%) 이상 늘며 핵심 권력기관 출신에 대한 선호도를 반영했다. 이에 따라 4대 권력기관 출신 인사는 165명에서 173명으로 늘었고, 관료 사외이사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61.6%에서 62.5%로 높아졌다.

 

법조(법원·검찰) 출신 인사가 84명으로 가장 많았고, 세무(국세청·관세청) 50, 공정위 24, 감사원 15명 순이었다.

 

반면 학계와 재계 출신 사외이사는 381명에서 367명으로 14(-4%) 감소했고, 그 빈자리를 관료 출신 인사가 고스란히 차지했다.

 

그룹별로는 신세계가 관료 출신 사외이사 비중이 가장 높았다. 7개 상장사 17명의 사외이사 중 무려 82.4%14명이 관료 출신 인사였다.

 

2위는 영풍으로 13명 중 9(69.2%)이 관료 출신 인사였고, 현대산업개발(66.7%), 롯데(65.5%), 동국제강(63.2%), CJ(60.7%) 등이 60% 이상으로 뒤를 이었다.

 

현대자동차, 한국타이어, 세아, 삼천리는 관료 출신 사외이사가 딱 절반을 차지했고, 두산(48%), OCI(46.7%), 현대(46.2%), SK(44.8%), 효성(42.9%), 현대중공업(40%), 아모레퍼시픽(40%), 태영(37.5%) 등도 평균치보다 높은 비중을 기록했다.

 

반대로 하이트진로, 이랜드, 미래에셋, 대우조선해양은 관료 출신 사외이사가 한 명도 없었다.

 

올 들어 사외이사 진출이 더욱 활발해진 국세청 및 관세청 출신 인사로는 HMC투자증권 임성균(광주지방국세청장), SK네트웍스 허용석(관세청장), LS산전 이병국(서울지방국세청장) 등이 대표적이다. 롯데쇼핑과 KT&G의 사외이사를 겸직 중인 박동열도 대전지방 국세청장 출신이다.

 

동부제철 원유승, 현대엘리베이터 박의명은 감사원 국장 출신으로 올해 주총에서 사외이사로 선임됐다.

 

대기업 그룹 사외이사 중에는 검찰총장, 장관 등 고위 관료 인사도 대거 포진해 있다.

 

두산엔진 정구영(23대 검찰총장) 사외이사를 비롯해 금호산업 김도언(26), 삼성전자 송광수 사외이사(33), CJ오쇼핑 김종빈(34) 등이 역대 검찰총장을 지냈다.

 

삼성생명보험 박봉흠(기획재정부), 삼성증권 김성진(해양수산부), SK C&C 이환균(국토교통부), SK이노베이션 김영주(산업통상자원부), GS 이귀남(법무부), KT 김종구(법무부), CJ대한통운 이기호(고용노동부), 고려아연 이규용(환경부), 코오롱인더스트리 김성호(보건복지부), 삼천리 곽결호(환경부) 등은 장관직을 거쳤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조윤주 기자]


49개 그룹 상장사 사외이사 관료 출신 비중 순위

순위

그룹

사외이사 수

관료 출신

비중

1

신세계

17

14

82.4%

2

영풍

13

9

69.2%

3

현대산업개발

6

4

66.7%

4

롯데

29

19

65.5%

5

동국제강

19

12

63.2%

6

CJ

28

17

60.7%

7

현대자동차

46

23

50.0%

7

한국타이어

8

4

50.0%

7

세아

8

4

50.0%

7

삼천리

6

3

50.0%

11

두산

25

12

48.0%

12

OCI

15

7

46.7%

13

현대

13

6

46.2%

14

SK

58

26

44.8%

15

효성

14

6

42.9%

16

현대중공업

10

4

40.0%

16

아모레퍼시픽

5

2

40.0%

18

태영

8

3

37.5%

19

현대백화점

19

7

36.8%

20

LS

17

6

35.3%

21

동부

20

7

35.0%

22

교보생명보험

3

1

33.3%

23

한솔

16

5

31.3%

24

삼성

56

16

28.6%

24

대림

7

2

28.6%

26

GS

25

7

28.0%

27

KT&G

11

3

27.3%

28

한화

26

7

26.9%

29

코오롱

15

4

26.7%

30

대우건설

4

1

25.0%

31

포스코

17

4

23.5%

31

한진

17

4

23.5%

33

금호아시아나

18

4

22.2%

34

LG

42

9

21.4%

35

한진중공업

10

2

20.0%

36

태광

11

2

18.2%

37

KT

29

5

17.2%

38

S-Oil

6

1

16.7%

38

한라

12

2

16.7%

40

KCC

7

1

14.3%

41

대성

16

2

12.5%

42

대우조선해양

5

-

-

42

미래에셋

5

-

-

42

이랜드

2

-

-

42

하이트진로

6

-

-

출처 : CEO스코어
*사외이사는 20141분기 보고서 기준/기타관료 4대 권력기관 이외
*부영,한국지엠,홈플러스,코닝정밀소재는 상장사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