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3사 기지국 수, 광대역 LTE는 KT가 광대역 LTE-A는 SKT가 1위
이동통신 3사의 무선기지국 규모가 정부 자료로 처음 공식 확인됐다.
주파수 대역별로 광대역 LTE-A에선 SK텔레콤(대표 하성민)이 광대역 LTE에서는 KT(회장 황창규)의 기지국이 각각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LG유플러스(대표 이상철)의 경우 광대역 LTE 기지국 수는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광대역 LTE-A 기지국 수는 KT보다 많았다.
그러나 이통사들이 최근 광대역 LTE-A 서비스를 개시하면서 기지국 숫자를 제시하며 서로 자사 서비스의 품질이 우수하다고 홍보했는데 제시 근거가 사실과 다른 점이 확인됐다,
13일 미래창조과학부와 중앙전파관리소가 공개한 '이동통신 대역별 무선국 현황'(7월 1일 기준)에 따르면 광대역 LTE-A의 경우 SK텔레콤이 17만3천219개로 KT, LG유플러스를 제치고 기지국 규모면에서 1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SK텔레콤은 지난달 19일 이통 3사 중 가장 먼저 광대역 LTE-A 서비스를 출시한 뒤 자사 기지국수가 21만개이고 이통 3사 중 가장 많은 기지국을 구축해 가장 넓은 서비스지역을 확보했다고 밝힌 바 있다.
한편 KT는 광대역 LTE 기지국수가 10만7천97개로 이통3사 가운데 가장 많았다. 반면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각각 6만3천885개, 3만7천619개를 기록했다.
그러나 가장 최근에 선보인 광대역 LTE-A를 기준으로 하면 이통3사 가운데 꼴찌다. 특히 KT의 기지국(12만6천96개)은 LG유플러스(14만6천524개)보다도 숫자가 적은 것.
하지만 KT가 국내 최다 10만 광대역 기지국으로 빈틈없이 촘촘한 KT 광대역 LTE-A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홍보했다는 점이다. 이는 광대역 LTE 기지국이 광대역 LTE보다 속도가 3배 빠른 광대역 LTE-A를 지원하는 것처럼 광고한 것과 다름 없는 것.
현재 KT는 1.8㎓ 주파수 대역 광대역 LTE 기지국은 가장 많지만 이와 결합해 LTE-A 서비스에 활용할 수 있는 900㎒ 주파수 대역 기지국 수는 1만8천999개에 불과한 상태다. 이 때문에 광대역 LTE-A 기지국 수는 2위 업체보다도 2만여개 적은 것이다.
LG유플러스의 경우 광대역 LTE 기지국에서는 타사에 크게 밀리는 상태로 확인됐다. 광대역 LTE 기지국 수는 3만7천619개로 SK텔레콤의 6만3천885개나 KT의 10만7천97개보다 적은 숫자다. 다만 광대역 LTE-A는 14만6천524개로 KT보다는 많고 SK텔레콤보다는 적었다.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 = 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