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금융사 임직원 120여명, 불완전 판매 등으로 징계

2014-08-25     윤주애 기자

KB금융 제재에 밀렸던 다른 금융회사 임직원 120여명이 내달 중 징계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제재심의위원회를 열어 내달 초부터 우리·하나·신한은행과 외국계 은행, 카드사 임직원에 대한 제재를 결정한다. 두 달 가까이 KB금융 관련 제재가 진행되면서 이들 금융회사에 대한 징계가 늦어진 만큼 임시 제재심을 열어서라도 가급적 빨리 결론을 낸다는 방침이다.

우리은행은 CJ그룹 차명계좌와 파이시티 사업 신탁상품 불완전 판매 등으로 제재가 예정돼 있다. 하나·국민·농협은행과 10여개의 저축은행도 KT ENS 협력업체의 사기 대출에 연루됐다. 

특히 1천600억 원 상당의 손실을 본 하나은행 임직원에 대해서는 대규모 징계가 내려질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김종준 하나은행이 이미 금감원으로부터 문책경고를 받았지만 KT ENS 부실 대출 책임을 물어 추가로 제재를 받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신한은행도 직원들의 불법 계좌 조회로 제재가 예정돼 있다. SC은행과 씨티은행 임직원들도 올해 초 발생한 대규모 고객 정보 유출로 징계를 받는다.

국민카드와 농협은행, 롯데카드 등 카드 3사는 개인정보 유출 사고로 중징계가 내려질 전망이다. 이미 전직 대표이사 및 전산담당 임원이 해임 권고 처분을 통보받았다. 카드 3사 중에서는 정보 유출 규모가 가장 큰 국민카드가 징계 대상이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전·현직 금융회사 최고경영자(CEO) 10여명도 징계 대상에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리처드 힐 전 한국SC은행장과 최기의 전 국민카드 사장 등 전직 금융사 CEO는 고객 정보 유출 등으로 중징계 대상에 올랐다. 하영구 한국씨티은행장과 이순우 우리은행장은 각각 고객 정보 유출과 파이시티 불완전판매와 관련해 징계 대상이 된 것으로 전해졌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윤주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