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신증권, 있지도 않은 ‘유령부서’ 빌미로 희망퇴직 종용 의혹
대신증권(대표 나재철)이 지난 5월 희망퇴직자 신청을 받는 과정에서 일부 직원들에게 ‘유령부서’로 발령 내겠다고 압박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18일 대신증권 노동조합 관계자는 “사측이 다른 회사의 희망퇴직 사례를 언급하며 현재보다 대우가 좋지 않은 부서에 발령날 것이라며 압박을 받은 직원 다수가 희망퇴직을 신청했다”고 밝혔다.
노조 측에 따르면 일부 지점에서 급여가 낮고 책상도 없는 영업2부로 발령날 수 있다며 일부 직원들에게 겁을 줬다는 것. 알고 보니 사측은 영업2부를 신설하지도 않았다. 유령부서를 운운하며 퇴사 압박을 받은 직원이 한 두명이 아니라는 주장이다.
노조는 '영업2부'가 위협용 카드였다며, 회사 지시로 다른 지점에서도 같은 방식의 퇴사 압박이 널리 이뤄진 사실을 확인했다고 지적했다.
대신증권은 지난 5월26일부터 30일까지 전 직원의 14.7% 가량인 302명이 희망퇴직으로 퇴사했다. 그 중 절반이 회사의 조직적 압박으로 짐을 쌌다는 것이 노조 측 주장이다. 대신증권 노조는 18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녹음 파일을 공개했다. 녹음파일에는 서울 A지점 지점장과 지점 직원의 대화 내용이 담겨있다.
이와 관련해 대신증권 측은 “증권업 불황으로 다른 회사에서 희망퇴직을 진행하는 상황에서 직원들의 요청으로 인해 설문조사를 거쳐 지난 5월 희망퇴직을 실시했다”며 “전적으로 당사자의 의사에 따라 희망퇴직을 시행 했을 뿐 노조의 주장처럼 회사 차원에서 인사발령을 거론하거나 당사자 뜻에 반해 퇴사를 강요한 사실은 없다”고 부인했다.
이어 “녹음 내용은 회사가 방문영업 부서 신설을 검토하는 단계에서 해당 지점장이 타 증권사 사례를 바탕으로 개인적인 예상을 말한 것뿐 회사정책과는 무관하다”며 “당시 직원들의 요청으로 갑작스럽게 희망퇴직을 준비하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다른 부서를 만든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는 여유가 없는 상황이었다“고 강조했다.
반면 대신증권 노조는 “처음 실시한 희망퇴직이라고 하지만 지난 2012년부터 전략적 성과관리 체제를 통해 지속적으로 인원을 감축했다”며 “특히 이번 인원감축은 희망퇴직이라는 허울 아래 찍어내기 퇴출을 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손강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