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민영화 '4수'…성사여부는 '안갯속'
공적자금관리위원회가 30일 우리은행(은행장 이순우) 지분매각 공고를 냈다. 4번째 민영화 도전이지만 최소 2개 이상 업체가 참여해 유효 경쟁이 이뤄져 매각이 성사될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경영권을 포함한 3조원 규모의 우리은행 보유지분 30%를 일반경쟁입찰방식으로 매각할 방침이다.
오는 11월1일 우리금융지주와 우리은행이 합병한 뒤 예금보험공사가 갖게 되는 우리은행 지분 56.97% 중 30%(2억288만주)가 매각 대상이다. 시가로는 2조5천억 원에 달한다.
매각 주관은 대우증권(대표 직무대행 구동현), 삼성증권(대표 김석), JP모간(대표 임석정)이 맡았다.
관건은 매각금액이 큰 만큼 유효 입찰자가 나올지에 있다.
우리은행 인수전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업은 교보생명보험과 일부 국내외 사모펀드 정도다. 교보생명은 우리은행을 발판으로 국내 1위 생명보험사 및 종합 금융 그룹으로 발돋움할 전략이다.
기업 인수합병(M&A)의 '큰 손'인 KB금융지주나 신한금융, 하나금융 등은 저축은행이나 보험사 등을 이미 인수, 우리은행 인수전에 참여할 여력이 없다는 입장이다.
공자위는 경영권 지분을 제외한 소수 지분(26.97%)에 대한 매각 공고는 내달 말 진행하고, 경영권과 소수 지분 모두 오는 11월28일 입찰을 마감할 예정이다. 경영권 지분만 따로 12월초 본입찰을 진행해 내년 1월 최종 입찰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이번에도 우리은행 매각이 성공할지에 대해 회의적인 분위기다.
우리은행 민영화는 이번이 4번째 시도다. 인수의사를 공식적으로 밝힌 교보생명 외에 또 다른 입찰자가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우리은행 매각은 2인 이상의 유효한 입찰자가 있어야 가능하지만, 현재까지 참여할 인수 주체가 뚜렷치 않다.
한편 우리금융지주는 30일 오전 11시39분 현재 전날보다 주가가 3% 하락한 1만2천9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3년 전(1만558원)보다 22.7% 떨어진 수치다. 같은 기간동안 코스피지수는 13.5% 상승했다. 민영화 기대감에 힘입어 지난 8월1일 장 중 1만4천850원까지 주가가 치솟았지만, 이후 롤러코스터 장세가 계속되고 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윤주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