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투자 "삼성전자 실적약세 내년 1분기까지 이어질듯"
삼성전자 실적 약세가 내년 1분기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미 실적 저점 형성 구간에 진입했기 때문에 저가 매수의 기회로 삼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8일 이세철 우리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삼성전자에 대해 "현재 최악의 모습은 저가 매수 시점이 다가온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내년에도 스마트폰 실적 둔화가 지속되겠으지만 메모리 실적 확대 및 시스템 반도체 실적이 개선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3분기 스마트폰 실적부진 등으로 지난해보다 반토막 수준인 4조1천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이 애널리스트는 기존 영업이익 추정치(4조3천억 원)와 시장 컨센서스(4조8천억 원)을 모두 하회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이 애널리스트는 삼성전자의 IM부문 스마트폰 대수가 지난 2분기 7천500만대에서 3분기 7천600만대로 소폭 증가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는 중저가 스마트폰 실적 약세 및 애플 제품 대기수요로 인한 판매 부진 탓이다. IM부문 영업이익은 2분기 4조4천억 원에서 3분기 1조9천억 원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반도체부문은 메모리 업황 호조에도 불구하고 시스템 LSI 실적 약세로 영업이익이 2조2천억 원에 그칠 것으로 추정된다. 메모리부문 영업이익은 2조7천억 원으로 IM사업부 영업이익을 상회할 것으로 보인다. CE 부문은 가전부문 실적 악화로 100억 원, 디스플레이 부문은 스마트폰 판매 약세 영향으로 500억 원 영업이익 추정된다.
이 애널리스트는 삼성전자가 4분기에도 스마트폰 실적 둔화로 영업이익이 4조5천억 원에 불과할 것으로 내다봤다. 애플 아이폰 6 및 아이폰 6플러스 판매 본격화로 하이엔드 시장 경쟁이 심화될 전망이다.
삼성전자는 중저가 폰 라인업 변화 및 갤럭시 노트4 판매를 확대해 배수진을 쳤다. 올 4분기에도 IM사업부 실적 소폭 개선 및 반도체 부문 실적 호조를 바탕으로 비교적 완만한 수준으로 실적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애널리스트는 "내년에는 반도체부문 실적이 IM부문 실적을 상회하고, 반도체 부문 영업이익이 업황 호조로 올해 8조2천800억 원에서 내년에는 10조9천300억 원으로 증가할 전망"이라며 "IM부문 영업이익은 스마트폰 영업이익률 하락으로 올해 14조8천700억 원에서 내년 10조7천800억 원으로 감소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삼성전자는 이달 말 사업부문별 실적을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윤주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