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호통에 기술신용대출 넉달새 60배 껑충...외환·신한은, 100배

7대은행 실적늘리기 경쟁, 부실대출 우려도

2014-12-11     유성용기자

금융위원회가 기술금융 활성화 대책을 내놓자마자 7대 은행의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신용대출 규모가 4개월 사이 60배나 늘어났다.

은행들이 정부의 시책에 적극 호응하는 것은 나쁘지 않으나 지나친 실적 경쟁으로 은행의 부실을 초래할 우려도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금융위는 지난 7월 박근혜 대통령이 금융권의 보신주의를 질타하자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금융을 대폭 늘리도록 각 금융기관에 지시했고 지난달에는 ‘제4차 금융혁신위원회’를 열어 기술금융 활성화를 위한 구체적인 대책까지 만들었다.


이 대책에는  내년도 은행 혁신성평가에 기술금융 공급 비중과 증가율 등의 평가 지표를 포함시키는 것.


기술금융 실적에 따라 경영진의 성과와 보상이 결정된다는 소리다. 은행들이 연말 앞두고 실적을 채우기 위해 기술금융 규모를 늘린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기도 하다.


이처럼 금융위가 기술금융 실적에 대한 드라이브를 걸자  4개 월 간 시중 7대 은행의 중소기업 기술신용대출 규모가 평균 61배나 증가했다.


외환은행(은행장 김한조)은 올들어 7월말까지 7개월간의 실적보다 8월부터 11월까지 4개월간의 실적이  130배나 더 많았고  신한은행(은행장 서진원)도 100배 이상 늘었다.


금융위의 기업금융나들목 기술금융 상환판을 보면 11월 말 현재 시중 7대 은행의 기업신용대출은 3조9천266억 원으로 집계됐다.


7월 말 640억 원에서 2조8천253억 원으로 무려 61배나 증가한 수치다. 기술금융 건수도 202건에서 6천115건으로 30배 늘었다.


세부 항목별로는 은행 자율이 7월 말 97억 원에서 11월 말 2조8천253억 원으로 증가율이 291배나 됐고, 정책금융공사의 간접 대출(온렌딩)과 기술신용보증기금의 보증 대출(기보)은 각각 32배와 14배 늘었다.


같은 기간 기업신용대출 건수도 은행 자율이 19건에서 3천863건으로 203배 늘었다. 온렌딩은 22배, 기보는 11배 증가했다.


은행별 증가율이 가장 높은 곳은 규모로는 외환은행, 건수로는 신한은행이 차지했다.


외환은행은 기업금융 규모가 지난 7월 말 29억 원에서 11월 말에는 3천809억 원으로 131배 커졌다. 신한은행이 120억 원에서 1조2천783억 원으로 101배 늘었고, 이어 하나은행(직무대행 김병호) 77배, 우리은행(내정자 이광구) 50배%, 스탠다드차타드은행(은행장 아제이 칸왈) 27배, 국민은행(은행장 윤종규) 26배, 씨티은행(은행장 박진회) 15배 등의 순이었다.


기업금융 건수는 신한은행이 44건에서 1천954건으로 44배 늘었고, 하나은행(39배), 우리은행(33배), 외환은행(27배), 스탠다드차타드은행(18배), 국민은행(15배), 씨티은행(12배)이 뒤이었다.


11월 말 기준 기업금융 규모가 가장 큰 곳은 1조2천783억 원의 신한은행이었다. 2위는 우리은행(9천761억 원)이었고 하나은행(8천42억 원), 국민은행(4천759억 원), 외환은행(3천809억 원) 순이었다. 외국계 은행인 씨티은행과 스탠다드차타드은행은 58억 원과 54억 원으로 규모가 미미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7월부터 기업금융 실적이 적나라하게 공시되기 시작했고 혁신성평가에 반영되는 방안이 나오며 은행들이 경쟁적으로 외형을 키우고 있는 상황”이라며 “대출이 TCB 평가서에 의존해 이뤄지는 만큼 경쟁에만 치우칠 게 아니라 내실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 = 유성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