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SKT 꼼수로 통신시장 물흐려" 맹공...SKT, "침소봉대" 반박
KT(회장 황창규)가 지난 16~19일 사이에 발생한 통신시장 과열의 주범을 SK텔레콤(대표 장동현)으로 꼽고 집중포화에 나섰다. SK텔레콤 측은 '침소봉대'라며 적극 반발했다.
KT는 20일 보도자료를 통해 SK텔레콤이 지난 16일 오후부터 자사 대리점과 판매점을 통해 '아이폰6'와 '갤럭시노트4' 등 주요 단말기에 45만원 이상의 고액 리베이트를 지급하며 시장 과열과 혼란을 주도했다고 화살을 겨눴다.
KT가 주장하는 SK텔레콤의 위반사항은 크게 두 가지다. 우선 SK텔레콤이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의 2차례 강도높은 경고에도 불구하고 17일 리베이트를 전체 단말기 대상에 일괄 47만원 이상으로 올려 혼란을 가중시켰다는 점이다.
이 뿐만 아니라 17일부터 적용되는 공시지원금을 정작 온라인에서 16일부터 선적용 판매해 사전 판매를 금지한 단통법을 정면으로 위반했다는 입장이다.
그 결과 번호이동시장에서 1월1일부터 16일까지 SK텔레콤에 3천96명 순증을 기록했음에도 19일 하루에만 SK텔레콤에 4천850명의 가입자를 빼앗겨 1천754명의 순감으로 바뀌었다고 덧붙였다. 이 정도 폭의 순감은 불법 영업행위외에는 설명할 수 없다는 것.
KT측은 겉으로는 시장 안정을 외치면서 불법영업으로 통신 과열을 몰고 간 SK텔레콤에 대한 관계기관의 엄정한 조사를 촉구했다.
KT는 또 최근 소송전으로 번지고 있는 'LTE-A폰 세계 최초 상용화' 논란에 대해서도 SK텔레콤에 맹비난을 퍼부어 양사간 갈등의 골이 더욱 깊어지고 있다. KT는 SK텔레콤의 TV광고에 대한 방송금지 가처분신청과 관련해 상용화의 근거가 부족하다는 점과 법원 심문 기일 조정 과정에서 변호사 교체가 이뤄진 배경 등을 문제 삼았다.
반면 SK텔레콤 측은 황당하다는 입장이다. 지난 주말실적은 평소 주말과 비슷한 수준이었고 경쟁사의 의도적인 깎아내리기에 불과하다는 것.
SK텔레콤 관계자는 "지난 주 MNP(번호이동) 실적이 2만4천 건이었는데 그 전주는 2만3천 건이어서 사실상 큰 폭의 증가는 없었다"면서 "KT는 당사 뿐만 아니라 LG유플러스에서도 순감을 기록했다"고 반박했다.
높은 번호이동자수에 대해서는 "팬택 A910이나 아이폰6 등 주요 단말기 재고에서 당사가 우위에 있었고 주요 기종의 출고가를 주말에 내린데따른 효과도 있었다"며 "경쟁사의 실적을 침소봉대하는것 밖에 볼 수 없다"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 = 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