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IoT 기반 스마트홈 서비스 시대 연다

2015-05-20     김건우 기자

SK텔레콤(대표 장동현)이 자체 개발한 개방형 스마트홈 플랫폼에 기반한 스마트홈 서비스를 상용화하며 홈 IoT 시장 확대 및 선도에 나섰다.

SK텔레콤은 스마트홈 기기 관련 협력사들과 함께 자체 개발한 스마트홈 플랫폼을 탑재한 다양한 홈기기들과 새로운 스마트홈 서비스 브랜드를 공개하고 향후 다양한 파트너사들과의 선순환적 생태계 확산 및 개개인에 최적화된 인텔리전트 시스템으로 스마트홈 서비스를 진화시켜 나가겠다는 비전을 발표했다.

이번에 선보인 스마트홈 서비스 플랫폼은 개방형 IoT 플랫폼인 모비우스 및 SK텔레콤의 IoT 기술을 기반으로 홈서비스에 최적화하여 자체 개발한 것으로 서비스 런칭과 함께 스마트홈 플랫폼이 탑재된 도어락(아이레보), 제습기(위닉스), 보일러(경동나비엔), 가스밸브차단기(타임밸브) 등 4개 제품이 1차 출시됐다.

'스마트 홈 라이프'는 하나의 스마트폰 앱으로 구현된다. 앱을 통해 스마트홈 기기들을 개별적으로 컨트롤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상황에 맞도록 기기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 

스마트홈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폰, Wi-Fi 무선공유기, 스마트홈 로고가 부착된 홈기기 등 3가지만 있으면 된다. 스마트폰과 무선공유기를 사용하는 고객은 스마트홈 서비스와 연동되는 최신 홈기기만 구매하면 바로 이용할 수 있다.

향후 SK텔레콤은 서비스 활성화를 위해 인테리어 업계와 함께 보급형 스마트홈 인테리어 패키지를 개발하고 SK브로드밴드와 스마트홈 공동 프로모션 전개를 계획 중이다. SK E&S계열 도시가스사들과는 스마트홈 플랫폼을 활용한 다양한 시범사업을 협의 중이다.

장기적으로 건설사 및 에너지사와의 제휴를 통해 신축 아파트에 스마트홈 상품 적용 및 에너지 절약 솔루션 제공을 추진할 계획이며 개발 노하우를 반영한 API를 연내에 공개하여 보다 많은 파트너들에게 생태계 진입 기회를 제공한다는 설명이다.

SK텔레콤의 조영훈 스마트홈 TF장은 "여러 제휴사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국내 환경에 맞는 풍부한 홈기기 라인업들과 다양한 서비스 상품을 갖추게 돼 우리나라 고객들에게 최적화된 스마트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향후 더 많은 협력 업체들과 공동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스마트홈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나갈 계획"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한편 장동현 사장은 지난달 23일 3대 차세대 플랫폼 혁신 전략을 발표하면서 스마트홈 등의 IoT 플랫폼을 육성해 동종·이종 파트너들과 협력하는 개방형 생태계를 키워갈 계획이라고 밝힌 바 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 = 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