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SK텔레콤과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기반 EPC 공동개발
2015-06-25 윤주애 기자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은 전 세계 이동통신업계가 가장 주목하고 있는 차세대 통신 기술로 세계 각국의 기업들이 기술 개발과 신규 서비스 발굴에 집중하고 있다. 네트워크 장비의 제어 부분과 데이터 트래픽 전달 부분을 구분해 데이터 전송 루트를 보다 효율적으로 설정한다.
특히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 기술을 적용한 네트워크 코어 장비(EPC)는 가입자나 서비스 유형에 따라 중앙의 코어 네트워크를 거치지 않고도 최적의 트래픽 경로를 제공한다. 이동통신사들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 기술을 적용한 네트워크 코어 장비(EPC)를 통해 데이터가 전달되는 최단 경로를 설정하고 사용자 체감 품질 향상(QoE), 불필요한 망 부하 해소, 신속한 장애 처리와 투자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 기술은 기지국 근처의 가장 짧은 트래픽 경로를 이용하기 때문에 보다 빠른 응답 속도(Low Latency)도 제공한다. 이는 사용자 명령에 따른 즉각적인 반응이 필요한 클라우드 게임, 원격 운전 등 향후 5G 시대에 도래할 다양한 실시간 데이터 서비스를 가능하게 할 전망이다.
삼성전자와 SK텔레콤은 오는 10월까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을 활용한 네트워크 코어 장비(EPC) 개발과 표준화 협력을 통해 글로벌 차원의 차세대 네트워크 혁신을 선도할 예정이다.
SK텔레콤 박진효 네트워크 기술원장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은 이동통신사업자의 네트워크와 클라우드 인프라 혁신을 위한 차세대 핵심 기술”이라며 “네트워크 코어 장비(EPC) 기술 개발을 통해 폭증하는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수용하고 차별화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 박동수 네트워크사업부 개발팀장(부사장)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 기술은 효율적인 네트워크 운용과 이동통신망을 활용한 혁신적인 서비스 도입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며 "삼성전자는 앞으로도 기술 선도를 통해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 구현에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윤주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