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7년 만에 흑자전환
금융감독원은 11일 영업 중인 79개 저축은행의 2014 회계연도(2014년 7월~2015년 6월) 순이익이 5천8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2013 회계연도의 5천89억 원 적자 대비 1조원 이상 개선된 것으로 3천367억 원의 흑자를 낸 2007 회계연도 이후 7년 만의 흑자다.
자산 건전성이 좋아지면서 대손충당금이 줄었고 업황이 회복되면서 이자이익이 늘어난 결과라는 분석이다.
저축은행업은 2008 회계연도에 566억 원의 적자를 기록한 이후 적자규모를 늘려 2010 회계연도에 2조7천777억 원이라는 최악의 적자를 냈다.
2011, 2012 회계연도에 각각 1조6천590억 원, 1조1천252억 원으로 적자폭을 줄여오다 지난 회계연도에 흑자로 전환한 것이다.
20014 회계연도 실적을 자산규모별로 보면 5천억 원 이상 중·대형 저축은행이, 소유구조별로는 증권사나 펀드, 기타금융그룹 계열 저축은행의 실적이 좋아졌다.
금감원은 저축은행들의 자산건전성이 좋아지면서 대손충당금 전입액이 1년 전보다 6천118억 원 줄어든 것이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분석했다.
캠코에 매각한 프로젝트파이낸싱 대출에 대한 충당금 적립이 마무리되고 업황 회복에 따라 이자 이익이 늘어난 것도 흑자 전환에 기여한 것이다.
올해 6월말 기준 연체율 및 고정이하여신비율은 각각 11.5%, 12.3%로 전년 대비 각각 6.1%포인트, 6.6%포인트 개선됐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7.4%로 개인신용대출을 중심으로 1년 전보다 3.4%포인트 낮아졌으며 기업대출 연체율은 14.5%로 부동산 관련 대출 위주로 7.4%포인트 하락했다.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14.57%로 전년(14.28%) 대비 0.29%포인트 올라갔다.
올해 6월말 기준 저축은행의 총자산은 40조2천억 원으로 1년 사이에 3조5천억 원 늘었다.
이는 대출금이 4조6천억원 늘어난 가운데 보유 유가증권이 1조원 줄어든 결과다. 자기자본은 4조6천억 원으로 전년보다 6천억 원 늘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저축은행 영업 활성화 등을 통해 지속적인 흑자기반을 구축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는 한편, 저축은행이 관계형 금융 등 서민금융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적극 유도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손강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