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가계대출 구조 개선...분할상환·고정금리 비중 30% 넘어
2015-08-14 김문수 기자
은행권 가계대출 구조가 개선됐다. 분할상환·고정금리 방식의 대출 비중이 커졌기 때문이다.
14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은행권 가계대출 중 분할상환 비중은 33%로 집계됐다.
분할상환은 원리금(원금+이자)이나 원금을 대출기간에 균등하게 나누어 갚는 방식으로, 만기에 한꺼번에 갚는 일시상환과 반대되는 개념이다.
은행권 가계대출 중 고정금리 비중도 6월 말 현재 33%를 기록했다.
금융위가 올해 목표로 삼은 고정금리·분할상환 대출 비율은 30%였다.
금융위는 가계대출이 부실화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변동금리·만기일시상환 위주이던 가계대출을 고정금리·분할상환 방식으로 바꾸는 정책을 펴고 있다.
현재의 가계대출 구조는 금융당국의 애초 목표치보다 건전성이 한층 나아졌다고 볼 수 있다.
올해 3∼4월 고정금리·분할상환 방식의 안심전환대출 상품을 34조 원어치 판매한 영향이 가계대출 구조 개선의 원인으로 꼽힌다.
금융위는 2017년 말 이후 분할상환 대출 비중을 45% 이상, 고정금리 대출 비중을 40% 이상으로 유지한다는 목표를 세워 놓고 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문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