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유출 홍역' 신용카드사, 보안문제로 줄줄이 제재 받아

2015-08-19     손강훈 기자

지난해 카드사 고객정보 유출사건으로 큰 홍역을 치렀지만, 올 들어서도 전업계 카드사들이 정보관리나 보안상의 과실로 줄줄이 제재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에 제재공시에 따르면 올해 1월1일부터 8월17일까지 8개 전업계 카드사는 경영유의 7건, 개선사항 12건, 기관주의 5건, 과태료 5건 등 총 29건의 기관 제재 조치를 받았다.


내용을 살펴보면 정보관리나 보안 관련 제재가 대부분이다.

신한카드(대표 위성호)는 제휴업체에 제공되는 고객정보 관리 강화를, 삼성카드(대표 원기찬)은 신용정보 관리, 보호인 지정개선을 이유로 제재를 받았다.

비씨카드(대표 서희준) 역시 개인정보 검색시스템 운영 불합리와 보조기억매체 통제프로그램 운영 불합리 등 고객 정보 유출 방지 시스템 개선이 요청됐다.

지난해 고객정보 유출 사건 당사자인 KB국민카드(대표 김덕수)는 신용정보 조회 기록 점검절차 강화와 소송관련 유출 고객정보에 대한 보안 강화를, 롯데카드(대표 채정병)은 보안성심의 기준 준수 통제 필요 등을 지적 받았다.

신용카드 불법모집과 관련된 제재는 롯데카드, 하나카드(대표 정해붕), 우리카드(대표 유구현)가 받았다.

이들 3사는 신용카드 회원 모집 시 금지행위 위반과 관리감독 소홀로 제재가 확정됐는데 중위권 카드사의 고객 확보 경쟁이 치열한 상황임을 보여준다.

전업계 카드사는 적발 사항에 대한 후속조치는 이미 다 마무리 됐다고 밝혔다. 제재 시점이 올해일 뿐, 검사 시점이 예전이기 때문에 검사 후 바로 지적 사항을 개선했다는 설명이다.

전업계 카드사 관계자는 “금감원 제재 시 이행계획서를 받기 때문에 제재 내용은 즉시 후속조치 된다”며 “계획서가 이행되지 않으면 추가 제재가 이뤄진다”고 말했다.

한편 현대카드(대표 정태영)는 올들어 제재를 한 건도 받지 않았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손강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