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2020년 글로벌 TOP 10 문화기업으로 도약
CJ그룹(회장 이재현)이 2020년 문화사업 부문 매출 15조6천억 원을 올려 글로벌 TOP 10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청사진을 밝혔다. 이는 지난해 CJ그룹의 계열사 CJ E&M, CGV, 헬로비전을 통해 올린 매출 3조6천억 원의 4배가 넘는 수치다.
CJ그룹은 2일 서울 중국 CJ인재개발원에서 ‘미디어 세미나’를 개최하고 2020년 문화산업 비전과 글로벌 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행사는 CJ가 문화산업을 시작한지 20년 동안 일궈온 성과를 점검하고 미래 비전을 알리는 자리로 이채욱 CJ 대표 및 CJ E&M, CGV, 헬로비전 대표 등 주요 경영진이 참석했다.
이 대표는 “문화가 우리의 미래라는 확고한 신념으로 1995년 드림웍스에 투자한 이후 20년 동안 뚝심있는 투자를 지속했다”며 “문화산업이 한국경제를 먹여 살릴 차세대 핵심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CJ가 중추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CJ그룹의 글로벌 비전에 대해 “전세계인이 매년 2~3편의 한국영화를 보고, 매월 1~2번의 한국음식을 먹고 매주 1~2편의 한국 드라마를 시청하고 매일 1~2곡의 한국음악을 들으며 일상생활 속에서 한국 문화를 맘껏 즐기게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CJ그룹은 이를 위해 적극적인 해외진출 전략을 세웠다. CJ CGV는 현재 한국, 미국,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미얀마 등 6개 국가에 걸쳐 1천637개 스크린을 가지고 있다. CJ그룹은 이를 2020년 12개국 1만여 개 스크린을 확대할 계획이다.
CGV가 보유한 스크린의 80%가 해외에 위치하고 매출의 65%를 확보함으로써 명실상부한 글로벌 극장 기업으로 거듭나겠다는 설명이다. 이렇게 되면 현재 연간 1억3천 명인 CGV 관람객은 2020년 7억 명으로 증가하게 된다.
전 세계 영화 관람객의 8%를 차지하는 세계 톱 클래스 극장기업으로 성장해 한국 영화를 전 세계인에게 전파하는 K-무비 플랫폼의 역할을 톡톡히 하겠다고 강조했다.
CJ E&M은 외국인들에게 친근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글로벌 IP(지적재산권) 확보에 주력하면서 세계적인 종합 콘텐츠 기업으로 발돋움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영화사업부문의 경우 중국, 동남아 현지 합작 영화 제작 및 배급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등 4개 국가에서 현지 합작으로 제작 및 배급되는 작품은 연간 8편 정도로, 이는 영화사업 전체 매출액의 15% 가량을 차지한다. 현지 합작 영화 편수를 점차 늘려 2020년에는 글로벌 사업 매출 비중을 6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방송사업은 해외 미디어 파트너와의 합작을 통해 다양한 진출을 꾀하고 음악 및 공연사업도 현지 및 글로벌 IP를 확대해 해외 진출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2020년 CJ E&M의 글로벌 매출 비중을 현재 8.5%에서 43%로 성장시킬 계획이다. 한류 확산 플랫폼인 KCON과 MAMA의 개최지역과 규모도 확대하고 국내 중소기업들의 해외 판로 개척 지원 사업도 강화한다. CJ그룹은 이를 위해 약 10조 원 정도의 투자가 필요한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CJ 관계자는 “식품회사였던 제일제당이 현재의 글로벌 문화창조기업으로 탈바꿈해 ‘제 2의 창업’을 이룩한 것은 최고경영진의 의지 없이는 불가능했다”며 “‘글로벌라이제이션’을 전략으로 삼고 글로벌 종합 콘텐츠 기업으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 = 문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