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암코, 4조 실탄으로 기업 구조조정 본격화

2015-10-22     윤주애 기자

금융위원회는 기업 구조조정을 전담할 수 있도록 연합자산관리(이하 ‘유암코’)의 기능을 확대개편하고, 내달부터 본격적으로 업무에 착수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22일 손병두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국장은 "출자·대출약정 규모를 1조5천억 원에서 3조2천500억 원으로 확대해 기업구조조정 전문회사의 기초재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라며 "이 부분은 앞으로 구조조정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필요시 주주은행과 협의해 늘려나갈 수 있다"고 밝혔다. 

기업재무안정 PEF는 자본의 300%까지 차입할 수 있다. 지분율은 신한은행, KB국민은행, 하나은행, 기업은행이 각각 17.5%, 농협은행과 우리은행은 각각 15%를 갖고 있다.

여기에 산업은행이 1천750억 원, 수출입은행은 250억 원을 출자하며 새롭게 투입됐다. 기존 주주인 농협은행과 우리은행은 250억 원씩 추가로 출자한다. 이렇게 되면 산업은행과 시중은행 등 7개 은행의 지분율이 14%로 똑같게 된다. 나머지 2%는 수출입은행이 갖는다. 

PEF는 3조2천500억 원에 NPL사업 자본(5천억 원)과 회사채(1조5천억 원)까지 4조2천억 원의 실탄을 갖고 구조조정에 나서게 됐다.

금융위는 유암코가 이번 확대개편을 통해 장기적으로 PEF가 인수할 수 있는 최대 채권 및 주식 규모가 28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손 국장은 "4~5년 내에는 이 정도 규모에 도달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금융위는 당초 기업 구조조정을 전담할 전문회사를 신설하려다 부실채권관리 회사인 유암코를 확대개편하기로 정책을 선회했다. 기업 구조조정은 전문가들로 PEF를 구성해 내달 중 구조조정대상기업을 선정한 뒤 내년 초 구조조정 채권.주식 등의 인수를 완료할 예정이다. 

조직내 신설되는 구조조정본부를 이끌 본부장이 내정됐고, 10월 중 외부전문가들로 구조조정 자문위원회를 구성할 계획이다. 이사회는 사외이사를 중심으로 구성하는 등 내년 3월 주주총회에서 구체적으로 지배구조를 개편할 예정이다. 조직내 성과주의를 확인하기 위해 사외이사를 중심으로 보상위원회도 신설된다.

유암코 내부에 PEF가 설치되면, 이 조직이 금융위원회의 관리감독 대상이 된다. 손 국장은 "지금의 이사진은 은행 퇴직자들로 구성돼 기업 구조조정 전문가로 보기에 약간 부족한 측면이 있다"며 "부사장을 없애고 투자사업본부와 자산관리본부 기업구조조정본부 3개로 운영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기업 구조조정을 하려면 채권자로부터 주식이나 채권을 구입할 때 가격 등에서 발생한 이견을 조정하거나 강제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도 고심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손 국장은 "유암코가 주채권은행이 될 수 없기 때문에 법상으로 강제하는 건 안되지만, 실제 기능이 되도록 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융위에 따르면 폐업기업을 포함해 전체 외부감사대상기업 2만5천개 중 한계기업 비중이 2009년 12.8%(2천698개)에서 지난해 15.2%(3천295개)로 증가했다.

금융위는 저금리에 따른 풍부한 유동성 및 이자비용 감소 등으로 한계기업이 제 때 구조조정되지 않아 그 숫자가 증가하는 추세라고 판단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윤주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