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바겐 리콜대상 9천800여 대, 내년 9월에야 리콜 가능
폭스바겐그룹의 디젤차 배출가스 조작 스캔들과 관련해 국내의 리콜 대상 차량 9만6천 대 가운데 1.6리터 모델에 해당하는 약 1만 대는 소프트웨어 수정 외에 엔진도 손봐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차량의 리콜이 시작되려면 앞으로 1년 가량 기다려야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알렉산더 도브린트 독일 교통부 장관과 폭스바겐그룹 측은 유로 5 환경기준에 따라 제작된 EA 189 엔진 장착 차량 가운데 1.6리터 모델은 엔진 부품 교체 등 하드웨어 수리가 필요하다고 최근 밝혔다. 다만 2.0리터 모델은 소프트웨어만 수정하면 된다.
다시 말해 2.0리터 모델 리콜은 내년 1월부터 가능하지만 1.6리터 모델은 하드웨어 문제 해결에 시간이 걸려 내년 9월 이후에나 리콜할 수 있을 것으로 독일 정부와 폭스바겐은 예상하고 있다.
국내의 리콜 대상 9만5천581대 가운데 1.6 모델은 제타 1.6 TDI, 골프 1.6 TDI, 폴로 1.6 TDI 등 모두 9천873대다. 나머지 골프, 제타, CC, 파사트, 비틀, 티구안, 시로코 등 2.0 TDI 모델은 8만5천78대다. 형제모델 아우디는 리콜 대상 2만9천941대가 모두 2.0 TDI 모델이다.
한편 내년에 폭스바겐과 아우디가 국내에서 리콜을 시작하더라도 연비와 성능 저하를 감수하고 리콜에 응할 소비자들이 많지 않을 것이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현대·기아차가 2011년 투싼, 싼타페, 스포티지 등 12개 차종에서 에어컨 가동 시 질소산화물을 저감하는 배출가스 재순환장치의 작동을 축소해 질소산화물을 과다배출한 일로 87만 대를 무상수리했는데 당시 부품을 수리받은 소비자는 적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기아차는 2012년에도 고속구간에서 출력과 가속 응답성 향상을 위해 질소산화물 저감장치 작동을 축소해 질소산화물을 과다 배출한 것으로 밝혀져 투싼과 스포티지 등 2개 차종 21만8천 대를 리콜한 바 있다.
현대·기아차 측은 2012년 리콜 당시 시정률은 80% 이상이라고만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 = 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