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시 1주일 아이폰 지원금 인상無, 20% 요금할인 선택 늘어날 듯

2015-10-30     김건우 기자

낮은 공시지원금으로 논란이 됐던 애플 '아이폰6s'의 공시지원금이 끝내 인상되지 않았다. 공시지원금 대신 20% 요금할인을 선택하는 소비자가 압도적으로 많아 지원금 인상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판단이다.

공시지원금은 시장 상황과 회사 재원 등을 고려해 '일주일에 한 번' 변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아이폰 출시 일주일 째를 맞은 오늘(30일 오후 5시 기준) 공시지원금 인상 가능성이 제기됐지만 현상 유지됐다.

SK텔레콤(대표 장동현), KT(회장 황창규), LG유플러스(부회장 이상철) 등 통신3사는 아이폰6s와 아이폰6s+ 모델에 대해 최대 13만 원의 공시지원금을 지원하고 있다.

삼성전자 '갤럭시노트5'나 '갤럭시S6', LG전자 'LG V10' 등 경쟁사 플래그십 스마트폰에 대해 10만 원대 요금제 기준으로 20~30만 원 상당의 지원금을 투하하는 것과는 다른 모양새다.

지원금이 적어 평균 100만 원을 호가하는 출고가 때문에 소비자들이 부담하는 단말기 할부원금은 최소 80~90만 원대에 육박했다. 이 때문에 지원금보다는 20% 요금할인을 선택하는 소비자들이 압도적으로 많을 수 밖에 없다.

번호이동 후 24개월 약정기준 5만원 대 요금제에서 단말기 지원금을 받는다면 약정기간 동안 총 6만9천 원의 할인혜택을 받는데 그친다. 하지만 같은 조건에서 20% 요금할인을 택한다면 평균 26만 원을 할인받을 수 있다.
매 달 사용하는 통신요금의 20%를 할인받다보니 요금제 단가가 올라갈수록 할인폭은 더 커진다. 10만 원대 이상의 고가 요금제에서는 38~39만 원을 더 할인받을 수 있다.

이렇다보니 통신사 입장에서는 난감한 상황이다. 공시지원금은 통신사와 제조사가 공동으로 부담하고 20% 요금할인은 순수 통신사가 서비스 요금을 차감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20% 요금할인을 선택하는 소비자가 많을수록 수익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게다가 다른 단말에 비해 아이폰 사용자는 데이터 사용량이 많은 '헤비유저'가 많아 통신사 입장에서는 똑같은 콘텐츠를 제공하더라도 요금할인 선택자가 많을수록 손해다.

하지만 당분간 이통사들이 아이폰6s 지원금을 상향 조정할 가능성은 높지 않아 20% 요금할인을 선택하는 소비자들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통사 관계자는 "아이폰 출시 전 경쟁 단말기의 지원금을 상향 조정시켜 아이폰 지원금을 높일 여력이 없다"면서 "지원금 상향조정은 시장 상황을 보면서 결정해야하는 부분"이라고 답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 = 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