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검찰수사' 짐 벗고 구조조정 박차...비리근절 의지 천명

2015-11-19     김국헌 기자

무려 8개월을 끌었던 검찰수사가 마무리 됨에 따라 포스코그룹이 짐을 벗고 구조조정에 힘을 쏟을 수 있게 됐다.

검찰은 지난 3월 포스코건설 본사를 압수수색하면서 포스코그룹 일부 전·현직 임원 및 하도급업체 비리를 수사하기 시작했다.

권오준 회장의 주도로 강도 높은 체질개선 작업을 추진 중이던 포스코는 이로 인해 기업이미지 실추는 물론, 업무에도 차질을 빚으며 개혁에 브레이크가 걸렸다.

검찰은 8개월 만인 지난 11일 포스코 전 회장 정준양을 뇌물공여,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 법률위반(배임), 배임수재 등으로 기소하고, 포스코건설 전 대표이사 부회장 정동화를 횡령·배임·입찰방해 등으로 기소하면서 수사를 마무리했다.

이에 따라 포스코는 경영정상화와 함께 구조조정에 속도를 다시 높일 것으로 전망된다.

포스코 관계자는 "아무리 검찰이 회사 영업에 지장없게 수사하겠다고 했어도 검찰 수사가 오래 길어지면서 직원들의 피로감이 컸다"며 "검찰 수사 종료로 각종 구조조정 행보가 탄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포스코는 구조조정을 통해 철강을 중심으로 한 소재·에너지·인프라·트레이딩 등 4대 핵심분야를 유지하되 나머지 저수익 계열사는 과감히 정리할 계획이다.

포스코는 올해 3분기에 해외법인 9개를 매각, 합병, 청산 등의 방법으로 정리했다. 오는 2017년까지 총 89개사를 정리할 계획으로 올해 19개사, 내년 35개사, 내후년 35개사가 정리된다. 현재 47개의 국내 계열사와 181개의 해외 계열사를 각각 22개, 117개로 줄일 계획이다.

한편, 포스코는 검찰 수사로 추락한 신뢰회복을 위해 5대 경영쇄신안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5대 경영쇄신안은 △사업 포트폴리오의 내실 있는 재편성 △경영 의사결정에 대한 책임 명확화 △인적 경쟁력 제고와 공정인사 구현 △거래 관행의 투명하고 시장지향적 개선 △윤리경영을 회사 운영의 최우선 순위로 정착 등이다.

특히 포스코는 비리 오명에서 벗어나기 위해 강도높은 징계 원칙도 세우고 실행해 나갈 계획이다. 포스코는 금품 수수, 횡령, 성희롱, 정보 조작 등을 4대 비리로 규정하고, 비리를 저지르면 즉시 퇴출되는 무관용 원칙(원 스트라이크 아웃제)을 실천할 예정이다. 

포스코는 지난 11일 대국민 사과문을 통해 "혁신 포스코 2.0을 차질없이 수행해 회사 경쟁력을 높이고, 회사 경영전반을 면밀히 재점검함으로써 시스템이 투명하고 공정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일신(一新)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국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