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총 100대 기업 ‘마른수건 짜기’...매출 2%↑ 영업이익 18%↑
2016-03-06 안형일 기자
반면 매출은 인수합병 효과로 외형이 커진 SK, 삼성물산, 하나금융지주, 한화를 제외하면 실제는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글로벌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기업들이 외형경쟁을 자제한 채 수익 중심의 영업활동과 함께 비용절감에 적극적으로 나선 결과로 분석된다.
4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국내 시총 100대 기업의 지난해 경영실적을 조사한 결과 매출은 1523조5192억 원으로 전년 대비 2.1%(30조8102억 원) 소폭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93조3843억 원에서 110조5089억 원으로 18.3%(17조1246억 원) 급증했다. 100대 기업은 올해 2월 말 시총을 기준으로 했고 지난해 잠정 실적을 공시하지 않은 쿠쿠전자는 제외했다.
그러나 전년 인수합병으로 외형이 커진 SK, 삼성물산, 하나금융지주, 한화 등을 제외한 95개사의 매출은 1395조2040억원으로 작년 대비 1.7% 감소했다.
이같은 매출 감소에도 불구 영업이익은 괄목할만한 증가세를 보였다. SK이노베이션, GS, KT, S-Oil, 대림산업, CJ E&M 등 6개 적자기업들이 대거 흑자로 전환하고 현대중공업이 적자폭을 크게 축소하면서 영업이익 개선을 이끌었다. 작년 전기료 인상으로 영업이익을 6조 원에서 11조 원으로 2배 늘린 한국전력도 영업이익 개선에 큰 영향을 미쳤다.
100대 기업 중 매출이 늘어난 곳은 72개 사에 달했다. 하지만 시총 1위인 삼성전자를 비롯한 포스코, LG화학, 현대중공업, SK이노베이션 등 27개 굵직굵직한 기업들의 매출이 감소해 전체 실적을 끌어내렸다.
인수합병 이슈가 있었던 SK 삼성물산 하나금융지주 한화를 제외하고 매출이 가장 늘어난 곳은 카카오로 2014년 4989억 원에서 작년 9322억 원으로 86.9%나 늘렸다. 이어 한미사이언스와 NH투자증권이 각각 47.3% 45.1%의 증가율로 뒤를 이었다.
삼성SDI(38.3%), LIG넥스원(36.0%), 한샘(29.2%), BGF리테일(28.7%), 셀트리온(28.1%), 영원무역(27.2%), 삼성증권(27.0%), 한국금융지주(26.8%), 대우증권(26.5%), GS리테일(26.4%), 한국항공우주(25.3%), 미래에셋증권(23.6%), 아모레퍼시픽(23.0%), 한세실업(20.8%), 아모레G(20.1%) 등도 20%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이밖에 삼성전자 매출이 200조6535억 원으로 2.7%감소한 것을 비롯 삼성카드, KT, LG전자, 현대제철, 한국타이어, 고려아연, 오리온, LG유플러스, 대우건설, 삼성SDS, 현대모비스, 한화케미칼, SK텔레콤, 엔씨소프트 등의 매출이 후퇴했다.
영업이익은 플러스를 기록한 곳은 흑자로 전환한 6개 기업을 포함해 총 64곳으로 감소한 곳보다 많았다.
삼성전기가 17억 원에 불과했던 영업이익을 180배나 많은 2997억 원으로 늘려 증가율이 17890%에 달했고 한미사이언스(1139.3%), 한미약품(514.8%), SK(416.8%), 롯데케미칼(359.1%), NH투자증권(150.4%), 한화케미칼(138.6%), 삼성증권(125.6%) 등이 100% 이상 늘렸다.
이어 한국전력(96.1%), 대한전선(80.5%), 한국항공우주(77.1%), 현대산업(72.9%), 농심(60.8%), 효성(58.3%) 등의 순이다. SK이노베이션, GS, KT, S-Oil, 대림산업, CJ E&M 등 적자기업들이 흑자로 전환했다. 현대중공업은 적자폭을 크게 줄였다.
SK이노베이션은 2014년 2313억 원의 적자에서 작년 1조9796억 원의 이익을 실현해 극전인 흑자전환을 이뤘다. . GS도 1조5818억 원을 달성했고 KT도 1조2929억 원의 흑자로 돌아섰다. 현대중공업의 경우 1조5401억 원의 적자가 계속됐지만 적자폭을 1조7094억 원이나 줄였다.
반면 적자로 전환한 곳은 삼성중공업(-1조6849억 원), 삼성SDI(-1306억 원), OCI(-1924억 원) 등 3곳, 이익이 감소한 곳도 31개 사나 됐다.
이익 감소폭이 가장 큰 곳은 삼성물산으로 82.6%(1763억 원)에 달했다. 이어 삼성카드(55.6%, 4812억 원), 카카오(49.9%, 881억 원), 호텔신라(44.5%, 618억 원), LG전자(34.8%, 6363억 원), 롯데쇼핑(28.2%, 3347억 원), BNK금융지주(26.0%, 2450억 원), 미래에셋증권(25.7%, 514억 원), 포스코(25.0%, 8035억 원), 대우건설(19.6%, 835억 원) 등의 이익이 뒷걸음질 쳤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안형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