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공공요금 잘 내면 신용등급 올라...4개월간 2천여 명 등급 상승
2016-06-12 김정래 기자
12일 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은 지난 1월 말부터 5월 말까지 4개월간 총 2만5천274명이 개인신용평가 개선 제도를 활용했다고 밝혔다.
이 기간 통신·공공요금 납부실적을 제출한 이들 가운데 2만3천867명의 신용평점이 상승했고 이 중 2천116명은 신용등급도 오른 것으로 확인됐다. 신용등급이 오른 사람 가운데 7등급에서 6등급으로 올라간 사람이 631명으로 30%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올해 1월부터 금감원은 통신·공공요금을 6개월 이상 성실히 냈다는 증빙자료를 개인신용조회회사(CB)에 제출하면 개인신용평가 시 가점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를 운영 중이다.
통신요금, 공공요금(도시가스·수도·전기), 국민연금, 건강보험료 등이 가점 부여 대상에 해당한다. 거래정보 종류나 납부 기간에 따라 5∼15점을 가산받을 수도 있다.
국민연금, 건강보험료 등의 경우 공인인증서로 CB 홈페이지에서 본인 확인을 하면 납부실적이 자동으로 접수되지만 통신요금은 납부실적을 팩스 등으로 직접 제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 때문인지 접수 건수도 건강보험료 납부실적 제출 건수가 1만7천785건(41%), 국민연금이 1만7천238건(40%)을 기록한 데 비해 6천259건(14%)에 그쳤다.
금감원은 신용평가 시 통신·공공요금 납부실적을 성실히 제출한 소비자에게 더 많은 혜택이 돌아가도록 가점 상승 폭의 확대 등 개선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정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