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성과연봉제 확대안 두고 내부갈등 격화

2016-06-27     김정래 기자
성과연봉제 확대 도입을 둘러싸고 금융감독원(원장 진웅섭) 내부의 갈등이 격화되고 있다.

금감원이 최근 전체 직원들을 대상으로 비공개 설명회를 열면서 성관연봉제 도입 의지를 재확인한 반면, 노조 측은 '서면 자료 한 장 없이 진행된 설명회'라며 반발하고 있다.

금감원은 지난 23일 오후 4급 이상 선임·수석조사역을 대상으로 성과연봉제 확대 도입을 위한 비공개 설명회를 열었다. 이는 22일 노조와의 2차 임단협 실무회의에서 노조 측에 성과연봉제 도입을 공식적으로 밝힌 뒤 이어진 금감원의 적극적인 행보다. 

현재 금감원은 1999년부터 팀장급(3급) 이상 간부 직원에 대해 매 년 근무성적에 따라 4등급으로 나눠 연봉을 차등 지급하는 성과평가제를 운영하고 있다. 

이번 성과연봉제 확대 도입안은 성과평가제를 4급 이하 수석조사역과 선임조사역까지 확대하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다만 신입사원에 해당하는 5급 조사역은 기존대로 호봉제를 유지한다. 

비공개 설명회에 대해 금감원 관계자는 "설명회는 전직원을 대상으로 자율적 참여하에 실시했으며 임단협에서 노조에 제안한 성과연봉제 관련 내용을 설명하는 자리였다"고 전했다. 

성과연봉제 확대 도입을 두고 노사양측의 갈등만 되풀이 되는 상황에서 사측이 직원들과의 대화를 통해 해법을 찾고자 '설득'에 초점을 맞췄다는 것이다.

하지만 노조 측은 이날 비공개 설명회가 사측의 입장을 일방적으로 전하는 자리였을 뿐이라고 평가 절하했다.

이인규 노조위원장은 “채용과 승진, 승급, 이동 등 인사 및 고가제도 개편과 더불어 성과연봉제 확대 도입을 설명하면서 서면자료 한 장 나눠주지 않았다”며 “50여 페이지에 달하는 방대한 내용을 설명만을 통해서는 잘 알 수도 없었고, 이에 대해 참석자들이 이의를 제기하자 사측이 설명회 내용을 확인하고 싶으면 15층 도서자료실에서 열람만 가능하다고 하니 기가찼다”고 맹비난했다.

또 "고용노동부의 양대 지침에서도 절대평가가 상대평가에 비해 객관성·공정성이 높다고 명시하고 있다"며 "
그런데도 강제배정 방식의 상대평가를 (사측이)고수하겠다는 걸 보면, 사측의 인사제도 개선방안은 성과주의 확대를 위한 꼼수에 지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금감원측은 노조와 협의를 계속해나갈 예정이지만, 
성과연봉제 확대 도입에 대한 동의를 얻지 못할 경우 취업규칙 변경을 통해 강행할 가능성도 내비치고 있어 갈등이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정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