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대 여성이 보이스피싱 타겟으로 꼽힌 이유는?

2017-04-05     김건우 기자

최근 20·30대 젊은 여성들을 노린 보이스피싱 사례가 급증하고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보이스피싱 조직들이 대출빙자형으로 진화하고 있지만 금융감독원이나 수사기관을 사칭한 피해도 많아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수사기관 및 금감원 사칭 보이스피싱 피해 중 20·30대 여성의 피해건수는 2천152건으로 전체 피해건수의 74%에 달했다. 피해금액은 175억 원으로 20·30대 남성에 비해 9배 이상 많았다.

주로 결혼자금으로 마련한 목돈이 피해를 보는 경우가 많았으며 현금 전달 사례도 상당수라는 점에서 피해 금액은 더 클 것이라는 것이 금감원 측 입장이다. 사기범에게 송금을 했다면 송금 계좌에 금액이 남아있다면 일부 보상을 받을 수 있지만 현금 전달은 피해 구제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금감원과 수사당국은 20·30대 여성이 보이스피싱 주 타겟으로 삼는데는 사회 초년생이 많고 남성에 비해 사회진출이 빨라 상대적으로 목돈을 모았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주목했다.

게다가 사기범이 범죄사건 연루 또는 구속영장 청구를 언급하면서 고압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심리적 압박을 주고 수사기관이나 금융당국을 내세워 나름 합리적으로 접근을 하면서 피해자들의 경계심을 누그러뜨려 상대적으로 접근하기 쉬웠다는 설명이다.

사기 행각이 발각되더라도 물리적 제압이 가능하다고 생각해 남성보다는 젊은 여성들에게 접근하는 것으로도 해석됐다.

한편 금감원은 각 금융회사에 20·30대 여성의 고액 현금 인출 요구 시 보이스피싱 피해위험 안내를 강화하도록 지도하고 SNS 등 온라인 매체를 활용해 금감원 사칭 보이스피싱 수법과 사기범의 목소리를 집중 전파할 계획이다.

경찰청 역시 보이스피싱에 대해 구속수사를 원칙으로 강력히 단속하고 금감원, 금융기관과 협조해 은행창구에서 범죄의심 거래 시 신속히 출동해 범행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주력할 방침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전화로 정부기관이라며 자금이체나 현금전달을 요구하거나 전화를 끊고 양해를 구했는데도 끊지 못하게 재촉하면 보이스피싱을 의심해봐야한다"며 "주변 지인에게 통화내용을 설명해 도움을 청하거나 해당 기관의 공식 대표번호로 연락해 반드시 사실 여부를 확인해야한다"고 당부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