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계란] 소비자단체, “정부 안일한 관리가 참사 불렀다”
2017-08-16 문지혜 기자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16일 성명을 내고 “살충제 사용이 가장 많은 7~8월 여름에는 정작 손을 놓고 무사안일한 태도를 취한 것이 ‘살충제 계란 파문’을 불러일으켰다”고 비판했다.
실제로 ‘살충제 계란’에 대한 지적은 지난해부터 있어왔다. 지난해 9월 국정감사를 앞두고 식약처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3년 초~2016년 상반기까지 산란농장과 달걀에 대한 잔류 농약 검사가 단 한 번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정감사에서 살충제 사용 문제를 지적하자 그제야 60여 곳(전체 산란계 농장 약 4%)을 조사해 유해성분이 나오지 않았다고 발표했다는 것이다.
협의회는 “살충제 계란 사건을 계기로 가축사육 농장, 사료, 도축장, 가공장, 유통업체까지 소비자가 안심할 수 있도록 점검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농가의 살충제 투입경로를 확실히 파악해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돼야 하며 계란 뿐 아니라 식용 닭고기에는 문제가 없는지 잔류 농약 검사를 당장 실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전수조사 결과를 소비자들에게 알리고, 문제 제품을 구입한 소비자가 유통매장에서 환불을 받을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가축 사육 농장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관리감독 방안을 제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AI나 구제역 등 가축관련 질병이 계절과 상관없이 끊임없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임시방편적인 대책이 아니라 가축 사육농장부터 소비자 식탁에 오르기까지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관리 대책이 나와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관계자는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축산식품 문제와 관련해 근본적인 대책없는 미봉책을 규탄한다”며 “관계부처가 주도권 다툼만 하지 말고 국민 안심정책을 위한 협력 공유체계를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문지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