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소비자보호실태평가-카드] 리볼빙 불완전판매 논란에도 등급 상향현상 뚜렷
금융감독원이 최근 발표한 '금융소비자보호실태평가' 결과, 지난해 문제점으로 지적됐던 '등급 인플레' 현상이 더욱 심화된 것으로 드러났다.
소비자가 만드는 신문은 기획 시리즈를 통해 올해로 2회차를 맞이한 금융소비자보호실태평가의 업권별 결과와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편집자 주]
금융감독원 '금융소비자보호실태평가'에서 카드사 7곳 모두 좋은 평가를 받았다. 10개 평가항목 중에서 '미흡' 등급을 받은 카드사는 한 곳도 없었으며 평균 8~9개 부문에서 '양호'로 평가됐다. 평가결과는 2015년에 비해 크게 개선되어 전반적으로 상향 평준화됐다.
2015년에는 카드사 중 전 항목에서 '양호' 등급을 받은 곳은 단 한 곳도 없었다. 2016년에는 롯데카드(대표 김창권), 삼성카드(대표 원기찬), 신한카드(대표 임영진), KB국민카드(대표 윤웅원)가 전 부문 '양호'로 평가됐다.
우리카드(대표 유구현), 하나카드(대표 정수진), 현대카드(대표 정태영)는 9개 항목에서 '양호' 등급을 받았다.
또 지난해에는 채무면제유예상품(DCDS)가 불완전판매되면서 카드사들은 13만 명의 고객에게 총 141억 원의 수수료를 환급하기도 했다. 그러나 올해 7개 카드사의 금융소비자보호 실태평가를 보면 양호등급이 93%나 된다.
이와 관련 금감원 소비자보호총괄국 관계자는 “징계를 받은 회사들을 평가할 때도 그부분이 감안이 됐다. 현대카드가 하나의 항목에서 보통등급을 받았는데 징계를 받았던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어 “DCDS 때문에 민원건수가 조금 늘기는 했지만 절대평가 기준으로 삼고 있는 범위 내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았다. 또한 평가요소에 여러 가지가 있기 때문에 다른 부분에서 소비자보호가 잘 되어있어서 감점요소를 상쇄할 수 있었다. 카드사가 전반적으로 소비자보호 모범규준을 준수하려는 노력이 다른 업권에 비해 컸고 그 부분이 인정을 받은 것”이라고 말했다.
우리카드는 소송건수에서 '보통' 등급을 받았으며 상품판매과정의 소비자보호체계 구축 및 운영에서는 하나카드와 현대카드가 '보통' 등급을 받았다.
지난해에 비해 개선이 두드러진 곳은 롯데카드, 삼성카드, 하나카드, 현대카드다. 롯데카드와 삼성카드는 지난해 3개 항목에서 '보통' 등급을 받았지만 올해 평가에서는 전 항목에서 '양호' 등급을 받았다. 하나카드와 현대카드는 지난해 '양호' 등급이 6개였다 9개로 대폭 향상됐다.
롯데카드는 지난해 보통등급을 받았던 상품개발과정의 소비자보호체계 구축 및 운영, 상품 판매과정의 소비자보호체계 구축 및 운영, 소비자정보 공시 부문을 모두 개선했다.
롯데카드 관계자는 “롯데카드는 금융소비자보호규정을 제정해 업무 전반에 걸쳐 소비자보호 지침을 준수하고, 정기적으로 고객접점부서는 물론 전사관리자 교육과 전문가 양성을 통해 민원을 사전에 차단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또한 매월 금융소비자보호협의회를 통해 각종 소비자보호제도 구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소송 건수, 상품개발과정의 소비자보호체계 구축 및 운영, 상품판매과정의 소비자보호체계 구축 및 운영 부문에서 보통등급을 받았던 삼성카드는 올해 모든 항목에서 '양호' 등급을 받았다.
삼성카드 관계자는 “삼성카드는 소비자보호를 위해 CEO가 주관하는 정기회의체를 통해 프로세스를 정비하고 꾸준히 개선해 나가는 등 노력을 기울인 결과 전년 대비 개선됐다”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이보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