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흥식 금감원장 "핀테크 발전 저해하는 불합리한 규제 있는지 들여다볼 것"
최흥식 금융감독원장은 국내 핀테크 발전이 상당히 더더다는 점을 지적하고 핀테크 기업들이 단순 경쟁보다는 상호 협력을 통한 시너지 창출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금융당국도 불합리한 규제가 금융 및 핀테크 발전에 저해하는 부분이 있는지 들여다보고 효율적인 규제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최 원장은 7일 한국금융연구원과 한국금융연수원이 공동 주최한 '4차 산업혁명과 금융의 미래, 그리고 금융인재 양성' 컨퍼런스에서 이 같이 밝히고 핀테크로 대변하는 기술과 금융의 융합이 금융산업의 패러다임을 급속도로 바꾸고 있다고 진단했다.
최 원장은 "금융회사들이 앞 다퉈 스마트폰 안으로 영역을 넓히고 있으며 금융서비스에서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며 "금융회사들 역시 4차 산업혁명이라는 거센 변화를 맞아 기로에 서 있다"고 말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로보어드바이저가 사람을 대신해 투자를 상담하고 보험사는 사물인터넷을 통해 고객 정보를 수집하는가 하면 P2P나 크라우드펀딩이 대안금융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 원장은 핀테크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금융회사와 핀테크 기업 간 상호 협력을 주문했다. 지난해 8월 은행을 중심으로 핀테크 서비스 개발을 돕는 '금융권 공동 오픈 플랫폼' 구축과 지난 달 말에 있었던 증권사들의 블록체인 공동인증 서비스 세계 최초 상용화 사례를 대표적인 예로 들었다.
다만 최 원장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금융의 외연이 바귀더라도 소비자 최우선 원칙은 변함이 없어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소비자는 금융시스템의 근본이며 금융회사의 지속성장을 위한 동반자"라며 "소비자 요구에 한 발 앞선 서비스를 제공하고 불합리한 점은 먼저 찾아내 개선해야한다"고 전했다.
마지막으로 최 원장은 창의적 사고와 도전 정신으로 무장한 핀테크 인재 양성에도 금융회사들과 핀테크 기업들이 힘써야 한다고 덧붙였다. 인간과 첨단기술이 공존하는 시대에 도태되지 않기 위해 융합형 전문가 양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최 원장은 "금융당국 역시 국내 금융산업이 4차 산업혁명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불합리한 규제가 있는지 전반적으로 들여다보고 레그테크와 같은 효율적인 규제준수 매커니즘 도입을 적극 장려하겠다"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