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가상화폐 실명제 논란에서 한 발 비껴선 까닭은?

2018-01-17     김국헌 기자

가상화폐 문제로 은행들이 골머리를 썩이고 있는 가운데 우리은행(행장 손태승)이 안도의 한숨을 쉬고 있다. 통합 차세대시스템 구축으로 가상화폐 관련 이슈에서 한발 비껴갈 수 있어서다.

금융위원회는 최근 KB국민은행(행장 허인), 신한은행(행장 위성호), KEB하나은행(행장 함영주), NH농협은행(행장 이대훈), 기업은행(행장 김도진), 광주은행(행장 송종욱) 관계자를 불러 가상화폐 실명제 이행을 위한 시스템 구축을 독려한 바 있다.

4대 은행 중 우리은행만 이 자리에 제외됐다.

이는 우리은행이 통합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어 당장 가상화폐 실명제를 도입할 수 없다고 금융당국에 밝혔기 때문이다.

우리은행은 지난해 말 가상화폐 거래소와의 계약을 해지했고, 가상계좌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 현재 3천억 원을 들여 통합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으며, 안정화 작업 뒤에야 가상화폐 실명제를 할 수 있다고 금융위에 알린 상태다. 최소한 2월 말까지 시간을 번 상황이다.

우리은행은 2월경에는 지금과 달리 정부의 방향성이 명확히 잡힐 것으로 보고 있다. 통합시스템 구축 이후 상황을 보고 가상화폐 거래재개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정부의 가상화폐 관련 오락가락 지침으로 신한은행이 실명확인서비스 도입 철회 →실명확인서비스 도입 연기→실명확인서비스 도입으로 입장이 여러 번 반복되며 소비자들에게 비판을 받는 상황과 대조적이다.

우리은행은 통합 차세대시스템 'WINI(위니)'를 구축 중이다. 고객 중심의 차별화된 금융서비스를 지원하고 IT 지원을 통한 업무경쟁력을 강화하며, IT 구조 개선을 통해 내부 운영을 효율화하자는 취지로 도입하고 있다.

이 차세대 시스템이 도입되면 영업점 거래처리 프로세스 및 편의성이 개선된다. 이동성, 인공지능, 빅데이터, 옴니채널 등의 차세대기술 구현이 가능하다. 영업점에 각종 마케팅 자료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 분석환경에 맞는 BI (Business Intelligence) 포탈 구축이 가능하다.

정보보안 체계 및 관리프로세스 수립으로 강력한 고객 정보보호 시스템을 가동할 수 있으며, 영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최상의 IT 인프라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차세대 고객 관리 시스템 확보로 최고의 금융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가상화폐 실명제를 위한 작업도 통합시스템을 구축하며 동시 진행할 방침이다.

이 차세대시스템은 참여 인력이 약 1천 명에 달하며, 구축사업에 총 26개월이 소요된다. 사용자 중심의 차세대시스템 구현을 위해 영업점 직원들이 전 단계에 걸쳐 참여한다. 분석에 4개월, 설계에 5개월, 개발에 6개월이 걸렸고, 테스트 및 이행에는 11개월이 걸린다. 오는 2월 19일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고 조기 안정화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통합시스템 구축으로 정부의 은행 현장조사나 소집대상이 되지 않고 있고, 현재 거래도 하고 있지 않아 가상화폐 관련 이슈에서 더욱 자유로운 상황"이라며 "가상화폐 실명제 시스템도 함께 마련하고 있으며, 안정화 작업을 거친 후 상황을 보고 가상화폐 거래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국헌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