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차, 4월부터 주간 연속2교대 시행...“근로자 삶의 질 개선”

2018-02-13     박관훈 기자
쌍용자동차(대표 최종식)가 오는 4월 2일부터 심야 근무 없는 주간 연속 2교대를 본격 시행한다. 쌍용차는 13일 근무형태 변경에 대한 노사 합의에 따라 이같이 정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쌍용차 근무 형태는 기존(조립 1라인 기준) 주야 2교대(11+9.5 시간)에서 주간 연속2교대(8+9 시간)로 전환된다. 근로자 1인당 일일 평균 근로시간은 10.25시간에서 8.5시간으로 줄어들게 된다.

쌍용차 노사는 근무형태 변경을 위해 2016년 10월부터 노사 협의를 진행해 왔다. 지난 1월 31일 노사합의 이후 조합원 설명회와 투표를 거쳐 시행을 최종 확정지었다.

쌍용차 평택공장은 현재 티볼리 브랜드가 생산되는 조립 1라인만 주야 2교대로 운영되고 렉스턴 브랜드 등이 생산되는 조립 3라인과 코란도 투리스모를 생산하는 조립 2라인은 1교대제로 운영돼 왔다.

이번 근무 형태 변경에 따라 생산 물량 증대 수요가 있는 조립 1, 3라인은 주간 연속2교대로 전환하게 되며, 조립 2라인은 기존처럼 1교대로 운영하게 된다.

근무형태 변경 및 작업시간 단축에 따른 생산물량 감소는 생산성 향상을 비롯한 비가동시간 조정을 통해 추가 시간을 확보하는 등 생산능력 제고 방안 마련을 통해 해결해 나간다.

1교대로 렉스턴 브랜드를 생산하던 조립 3라인의 경우 이번 근무형태 변경을 통해 연간 1만대 이상의 생산물량 증대 효과가 예상된다. 회사는 현재 약 1만대 이상의 계약 물량을 확보한 렉스턴 스포츠 적체 문제도 해소될 것으로 기대했다.

특히 쌍용차는 이번 근무형태 변경은 심야 근무 해소와 근로시간 단축으로 근로자들의 삶의 질 향상과 함께 생산성 향상에 따른 제조 경쟁력 확보를 동시에 달성하겠다는 포부다. 노사가 모두 상생할 수 있는 합의를 이뤄낸 것으로 그 의미가 크다고 설명이다.

또한 이번 근무형태 변경으로 현재 논의되고 있는 정부의 근로시간 단축 방침에도 적극 부응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쌍용차 최종식 대표는 “이번 주간 연속2교대제는 노사가 회사의 지속 성장을 위한 경쟁력 향상에 뜻을 모아 합의를 이뤄낸 것”이라며 “근로자들의 삶의 질 향상과 함께 생산성 향상에 따른 제조 경쟁력 확보를 통해 글로벌 판매물량을 더욱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박관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