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수 증권사들도 동일 배당금 시스템...제2의 삼성증권 사태 가능성 '열려있다'
우리사주 배당금이 배당주식으로 잘못 입력돼 발생한 이번 '삼성증권 사태'에 대해 일부 다른 상장 증권사 역시 동일한 배당금 지급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문제로 지적받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9일 오전 삼성증권 배당착오입력 사고 관련 브리핑을 통해 "이번 사고의 근본적 원인은 증권사 내부통제 시스템 미비와 증권 거래 시스템의 전반적인 문제로 인해 비롯된 결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우리사주조합에 대한 배당 절차에서 주식배당과 현금배당 지급 절차가 분리돼야하는데 시스템상 분리되지 않은 점이 사고 발생의 본질이라는 것.
실제로 우리사주조합에 대한 주식배당 시 발행사(증권회사)는 예탁결제원과 한국증권금융 등을 거쳐 개별 조합원 계좌에 주식이 입고되는데 이번 삼성증권 사태에서는 발행사가 개별 조합원에게 바로 지급되는 현금배당 시스템으로 주식이 지급됐다는 설명이다.
우리사주조합원에 대한 현금배당은 배당소득세 문제 때문에 한국증권금융 등과의 협약을 통해 증권회사에서 조합원에게 개별적으로 직접 지급하고 있다.
삼성증권의 경우 발행회사로서의 배당업무와 투자중개 업자로서의 배당업무가 동일한 시스템을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시스템상 오류 발생 개연성을 갖고 있었다는 지적이다.
특히 다수 상장 증권사는 실제 발행되지 않은 주식이 착오 입력에 의해 입고될 수 있는 시스템상 문제 발생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2의 삼성증권 사태 가능성이 열려있다는 것이다.
금감원은 삼성증권과 유사한 배당금 지급 방식을 가진 타 증권사들에 대한 명단은 공개하지 않았다.
금감원은 삼성증권 측에 투자자 피해보상이 차질없이 진행되도록 기준을 명확히하고 자체적으로 피해신고 접수 처리 전담반을 운영해 투자자들의 추가적 피해 방지를 촉구했다.
금감원 차원에서는 팀장 포함 3명의 직원이 9일 오전 삼성증권 본사로 파견돼 매도주식 결제가 이뤄지는 내일(10일)까지 현장 특별점검을 하고 이후 전반적인 내부통제시스템과 주식거래시스템 점검으로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삼성증권부터 점검하고, 타 증권사들로 점검을 넓혀나갈 계획이다.
원승연 부원장은 "자본시장의 핵심은 신뢰이고 신뢰의 토대 중 하나가 거래 및 결제시스템의 신뢰와 안정성인데 이번 사고는 거래시스템에 대한 신뢰가 무너뜨렸다는 점에서 금융당국도 심각하게 문제를 대하고 있다"면서 "감독 업무를 담당하는 금감원에 대한 비판도 많은 것으로 알고 있는데 이번 사고를 계기로 증권사 내부통제시스템과 거래시스템 전반적으로 분석하고 개혁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