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청의 리더십 보여준 '침묵의 거인', 박용곤 두산그룹 명예회장 별세...향년 87세

2019-03-04     유성용 기자
박용곤 두산그룹 명예회장이 3일 저녁 노환으로 별세했다. 향년 87세.

박 명예회장은 1932년 고(故) 박두병 두산그룹 초대회장의 6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나 경동고등학교를 졸업했고 6.25전쟁이 한창이던 1951년 자원해서 해군에 입대해 참전용사로 활약했다.

군 시절 그는 통신병으로 비밀훈련을 받고 암호취급 부서에 배치된 후 해군 함정을 타고 함경북도 청진 앞바다까지 북진하는 작전에 참여했다. 이 같은 공적으로 박 명예회장은 2014년 5월 6.25전쟁 참전용사 국가유공자 증서를 수여 받았다.

군 제대 후 미국으로 건너가 워싱턴대학교에서 경영학을 공부했으며, 귀국 이후에는 1960년 한국산업은행에 공채로 입사해 사회생활을 시작했다.

두산그룹에 발을 들인 것은 1963년 동양맥주 평사원으로 입사하면서다. 이후 한양식품 대표, 동양맥주 대표, 두산산업 대표 등을 거친 뒤 1981년 두산그룹 회장에 올랐다. 그룹 내에서 박 명예회장은 인화를 중심에 두고 인재를 중시한 경영으로 오늘날 ‘글로벌 두산’의 기틀을 닦았다는 평가를 받는다. 가정과 직장에서 항상 주변을 아우르는 ‘큰 어른’이기도 했다.

실제 두산그룹 회장 재임 시 국내 기업 처음으로 연봉제를 도입하고 대단위 팀제를 시행하는 등 선진적인 경영을 적극 도입했다. 1994년에는 직원들에게 유럽 배낭여행 기회를 제공했고, 1996년에는 토요 격주휴무 제도를 시작했다. 또 여름휴가와 별도의 리프레시 휴가를 도입하기도 했다.

동양맥주에 재직중이던 1964년에는 당시 국내 기업에서는 생소하던 조사과라는 참모 조직을 신설해 회사 전반에 걸친 전략 수립, 예산 편성, 조사 업무 등을 수행하며 현대적 경영체계를 세웠다.

특히 1995년에는 경영위기 타개를 위해 당시 주력이던 식음료 비중을 낮추면서 유사업종을 통폐합하는 조치를 단행하는 혁신을 시도했다. 33개에 이르던 계열사 수는 20개 사로 재편됐다. 당시 두산의 대표사업이었던 OB맥주도 매각했다. 이어 2000년대 한국중공업, 대우종합기계, 미국 밥캣 등을 인수하면서 소비재 기업을 넘어 산업재 중심의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박 명예회장은 집에서나 회사에서나 모든 결정의 중심에 있었지만 좀처럼 먼저 입을 열지 않았다고 한다. 사업적 결단의 순간 때도 그는 실무진의 의견을 먼저 경청했고 다 듣고 나서야 입을 열어 방향을 정하는 경청의 리더십을 지녔다.

한 번 일을 맡기면 상대방을 신뢰하고 오래도록 지켜보는 ‘믿음의 경영’을 실천한 고인에 대해 두산 직원들은 “세간의 평가보다 사람의 진심을 믿었고 다른 이의 의견을 먼저 듣고 존중하던 ‘침묵의 거인’이셨으며 주변의 모든 사람을 넉넉하게 품어주는 ‘큰 어른’이셨다”고 말한다.

‘모든 사원이 일생을 걸어도 후회 없는 직장이 되도록 하겠다’는 목표를 가졌던 고인은 “인재가 두산의 미래를 만드는 힘이다”라고 항상 강조했다.

“두산의 간판은 두산인들입니다. 나야 두산에 잠시 머물다 갈 사람이지만 두산인은 영원합니다.” “나는 무엇보다 사람을 강조합니다. 사람들이 잘나고 못나면 얼마나 차이가 있겠습니까. 노력하는 사람, 그 사람을 적재적소에 배치해 능력을 발휘하도록 합니다.” “기업은 바로 사람이고 기업을 경영한다는 것은 곧 사람을 어떻게 다루느냐는 것과 일맥상통합니다” 등의 발언에서 인화를 중시하는 고인의 생각을 엿볼 수 있다.

어려서부터 선친에게서 “늘 겸손해야 한다”’는 가르침을 받고 자란 박 명예회장은 “내가 먼저 양보하면 된다”는 말을 자주 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는 또 ‘분수를 지켜야 한다’는 생각을 항상 품고 살았다. 고인은 ‘수분가화(守分家和)’를 가훈으로 삼았고, 형제와 자녀들에게 ‘수분가화’라는 붓글씨가 적힌 액자를 선물하면서 분수에 맞는 삶을 강조하기도 했다.

‘수분가화’는 ‘자신의 분수를 지켜야 가정이 화목하다’는 뜻이다. 더 나아가면 ‘능력 범위 안에서 행동하라’는 뜻이며 ‘조금씩 양보하고 참아야 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

유족으로는 박정원 두산그룹 회장, 박지원 두산중공업 회장, 박혜원 두산매거진 부회장 등 2남 1녀가 있다. 빈소는 5일 오후 2시부터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지며 장례는 가족장으로 치러진다. 발인과 영결식은 7일이며, 장지는 경기 광주시 탄벌동 선영이다.

가정에서의 모습에 대해 유족들은 “아내에 대해 평생 각별한 사랑을 쏟은 남자”로 기억한다. 부인 고(故) 이응숙 여사와는 1960년 부부의 연을 맺었다. 이 여사는 박 명예회장에게 있어 인생의 ‘동반자’이자 ‘조언자’였다. 부인이 암 투병을 하던 당시 박 명예회장은 병실 소파에서 쪽잠을 자며 오랜 기간 간병을 하기도 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 = 유성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