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52시간 근무제 적용 기업 1년 간 직원수 증가 미미

2019-08-25     유성용 기자
주 52시간 근무제를 적용한 300인 이상 기업들의 1년 새 직원 수 증가율이 1.78% 증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지난해 7월 52시간 근무제가 적용되지 않았던 300인 미만 사업장 및 특례업종에 속한 기업들의 직원 수 증가율이 1.98%로 더 높았다.

25일 기업평가사이트 CEO스코어(대표 박주근)가 500대 기업 내 분기보고서 제출 기업 중 지난해 7월1일 시행된 주 52시간 근무제가 적용된 181개 기업의 고용을 조사한 결과, 지난 6월 말 현재 직원 수는 총 84만1832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6월 말 82만7098명 대비 1.78%(1만4734명) 증가한 수치다. 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되기 1년 전인 2017년 6월 말(81만3492명) 대비 2018년 6월 말 1.67%(1만3606명) 늘어난 것과 큰 차이가 없는 수준이다.

특히 주 52시간 근무제가 적용되지 않았던 300인 미만 사업장 및 특례업종에 속한 기업 110곳의 경우 지난해 29만1904명에서 올해 29만7685명으로 1.98%(5781명)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오히려 증가폭이 낮았다.

CEO스코어는 정부가 일자리 창출과 근로자 노동환경 개선 등을 명목으로 주 52시간 근무제를 추진했지만 당장 눈에 띄는 고용 효과는 없었다고 분석했다.

기업별로는 LG전자가 3296명(8.8%)으로 증가인원이 가장 많았다. 삼성전자 3091명(3.0%), SK하이닉스 2607명(10.4%), LG화학 2029명(11.5%), CJ제일제당 1159명(17.4%), 기아자동차 1050명(3.0%) 등이 1000명 이상 증가했다.

이어 삼성SDI 830명(8.5%), 현대자동차 829명(1.2%), 삼성엔지니어링 542명(11.4%), 삼성전기 533명(4.8%) 등의 순이었다.

업종별로는 IT전기전자(16개사)가 24만4966명에서 25만175명으로 5209명(2.13%) 늘었고 석유화학(24개 사) 3640명(6.74%), 자동차 및 자동차부품(23개 사) 2188명(1.41%), 식음료(16개 사) 1043명(2.2%), 서비스(13개 사) 1011명(1.94%) 등이 1000명 이상 증가했다.

반면 건설 및 건자재(27개 사)는 7만685명에서 6만9178명으로 1507명(2.13%) 줄어 전체 13개 업종 중 유일하게 직원 수가 감소했다.

한편 이들 기업의 매출액은 올 상반기 505조730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521조5119억 원) 대비 3.2%(16조4389억 원) 줄었다.

반면 급여총액은31조6481억 원에서 33조5149억 원으로 5.9%(1조8668억 원) 늘면서 매출액 대비 인건비 비중도 0.57%포인트 상승한 6.64%를 기록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 = 유성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