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협회 대표단, 美·英기관 협력 및 현지 네트워킹 진행

2019-11-19     김민희 기자
한국제약바이오협회(회장 원희목)는 미·유럽 현지 유력 연구소와 기업, 바이오 클러스터, 학계, 정부 기관과의 다양한 업무협의를 비롯해 양해각서(MOU) 체결, 비즈니스 파트너링 등을 진행했다고 19일 밝혔다.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16일까지 미·유럽 방문을 방문한 대표단은 현지에서 구체적 사업모델을 점검하고, 전문인력 양성방안을 모색했다. 대표단은 원희목 회장을 비롯, 허경화 부회장 등 협회 임직원과 제약기업·정부기관·투자사 등 주요 관계자들로 구성됐다.

특히 미국의 대표적 바이오클러스터로 손꼽히는 보스턴에서 첫발을 뗀 이들은 독일 프랑크푸르트, 함부르크, 아일랜드 더블린 등 선진화된 바이오클러스터를 돌면서 국내 제약기업의 시장 진출을 위한 기반 마련에 주력했다.

또 미국·유럽 등 현지 시장에 앞서 진출한 국내 제약기업으로부터 다양한 요구사항을 듣고, 현지 기관과 교류 확대 및 전문가 양성 등 협회가 지원 가능한 사후대책을 마련키로 했다는 게 협회 측의 설명이다.

◆ 영국 메드시티·밀너 컨소시엄 등과 협력 강화

지난 13일부터 15일까지의 영국 일정에서는 협회가 현지 클러스터의 주요 기관과 협력 관계를 구축하는 동시에, 대표단에 포함한 제약기업 등이 현지 기업·대학 등과 파트너링 미팅을 진행하며 실질적인 현지 시장 진출 방안을 모색했다.

원 회장은 14일 영국 동남지역을 대표하는 바이오클러스터 메드시티(Medcity)의 닐람 파텔 대표를 만나 양 기관 간 MOU 체결 및 국내 기업의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해 지속 협력키로 했다. 또 이날 양 기관과 영국 런던퀸메리대학(QMUL), 영국 국제통상부(DIT) 등 4개 기관이 공동 개최한 ‘한-영 제약바이오 컨퍼런스’에서는 우리나라 제약기업과 기술이전을 모색하고 파트너십을 확대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열린 ‘한-영 바이오파마 네트워킹 행사’에서는 양국의 제약산업 역량과 오픈 이노베이션 현황 등에 대한 주제발표 후 상호 협력을 위한 약 15건의 파트너링을 진행했다.

원 회장은 앞서 11일 독일 함부르크 바이오유럽 행사에도 참가, 한화 약 340조원을 R&D 펀딩에 투자하며 월드 클래스를 자부하는 중국의 바이오굴기와 유럽연합(EU)의 R&D 지원정책 등 세계 바이오산업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독일·프랑스·벨기에 등 유럽의 주요 바이오클러스터들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원 회장은 “미국·유럽 등 선진 오픈 이노베이션 생태계를 보니 우리의 현실적 한계와 가능성을 동시에 확인했다”며 “우리도 지체하지 말고 개방형 혁신을 바탕으로 글로벌 생태계에 직접 뛰어들어 부딪쳐야만 한다”고 강조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민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