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스톱ㆍ포커가 우리나라 대표 게임(?)

2007-11-11     뉴스관리자
한게임의 속칭 '고포류 게임'(고스톱, 포커 등 웹보드게임)이 엔씨소프트[036570]의 '리니지' 시리즈를 누르고 국내 최고 매출을 올렸다.

   1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NHN[035420]은 한게임이 담당하고 있는 게임부문에서 3분기 650억 원의 매출액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게임부문 매출의 최소 90% 이상을 올리고 있는 '고포류 게임'은 이 기간 적어도 570억 원 이상의 매출을 거둘 것으로 보인다.

   반면 엔씨소프트의 국산 대표 온라인게임 '리니지' 시리즈는 3분기 국내외 매출을 합쳐 561억 원의 매출을 기록, '고포류 게임'에 뒤처지는 굴욕을 겪어야 했다.

   NHN의 게임부문은 지난해 1~3분기 300억 원 전후의 매출을 올렸다. 그러나 4분기 395억 원, 올해 1, 2분기 연속 500억 원 대로 매출이 급신장한 데 이어 3분기에는 600억 원 대마저 훌쩍 뛰어넘으며, NHN의 성장세를 주도하고 있다.

   반면 10년 역사상 최고 매출로 국산 대표 온라인게임의 지위를 놓치지 않았던 '리니지' 시리즈는 지난해 600억 원 전후의 매출 정체를 겪다 올해 1분기 632억 원으로 '반짝' 회복세를 보였으나 2분기 576억 원, 3분기 561억 원으로 오히려 매출이 줄어들었다.

   업계 일각에서는 '고포류 게임'의 이 같은 성과는 상당 부분 바다이야기 스캔들의 반사이익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한게임 매출이 급성장을 시작한 시점인 지난해 4분기가 바다이야기 스캔들로 사행성 게임장이 대거 퇴출한 시기와 일치한다는 것이 분석의 요지다.

   여기에 커뮤니티 성격이 강한 '고포류 게임' 특성상 단기간에 매출이 크게 늘어나기 힘들다는 점과 한게임이 '고포류 게임' 외에 퍼블리싱 부문 등에서 아직까지 뚜렷한 성과를 올리지 못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바다이야기 스캔들과의 상관관계는 더욱 뚜렷해진다고 이들은 분석했다.

   그러나 '리니지' 시리즈는 올 들어 불법서버 문제와 외산게임의 공세 등으로 매출이 줄어들고 있는데다 10년을 이어온 게임의 수명을 볼 때 앞으로도 뚜렷한 반등 요인이 없어 국산 대표 온라인게임으로서의 '영광'을 되찾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업계는 전망했다.

   업계의 한 전문가는 "국내 게임산업이 '리니지' 시리즈의 성공 이후 뚜렷한 돌파구를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업체들이 눈앞의 이익보다는 장기적인 비전을 가지고 창의적 콘텐츠 개발에 투자해 새로운 활로를 개척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