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아 변양균 첫 공판 "참회한다"만 되풀이
2007-11-12 뉴스관리자
하지만 이들은 사실관계는 시인하지만 뇌물수수, 직권남용 등 혐의는 인정하지 않는다는 종전의 주장을 재차 강조했다.
각별한 친분을 유지하던 신씨와 변 전 실장은 재판장의 호출에 따라 피고인석에 나란히 앉아 지난 7월 신씨의 학력위조 파문이 불거진 뒤 처음으로 만났지만 한 차례도 눈을 마주치지 않았다.
서부지검 문찬석 검사가 "변 전 실장과 신씨는 동국대 교원임용과 관련해 뇌물수수의 공범"이라며 공소유지 진술을 읽어내려가자 신씨는 흐느끼기 시작하다가 흘러내리는 눈물을 손바닥으로 훔치기도 했다.
재판장 김명섭 판사가 '공소사실을 인정하느냐'고 묻자 신씨는 "지난 몇 달간 저로 인해 사회적으로 많은 심려를 끼쳐 죄송하다. 앞으로 제 잘못된 판단에 대해 깊이 반성하고 참회하며 살겠다"라고 말했다.
변 전 실장은 "사회적으로 큰 물의를 일으켜 국민들께 너무 죄송하다. 그리고 대통령을 비롯해 같이 일하던 직장 동료들에게 엄청난 누를 끼쳐 몸둘 바를 모르겠다. 그래서 영등포 구치소에서 매일매일 반성과 참회를 하고 있다"라고 들릴 듯 말 듯 말했다.
변 전 실장은 앞서 재판장에게 제출한 의견서에서 모든 혐의를 부인한다고 밝힌 바 있다.
그의 변호인은 "사실관계는 인정하지만 그게 과연 죄가 되느냐는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정아씨의 변호인은 "과도한 교육열, 학벌지상주의, 출세를 지향하는 우리 사회의 부정적인 단면을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신씨가 검찰 진술에서 거짓말을 했더라도 이는 변양균과 같이 신씨를 많이 배려를 해준 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었을 것이다. 앞으로 살아갈 날이 더 많지만 모든 게 파괴된 불쌍한 여인에게 더 이상 돌을 던지지 말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신씨와 변 전 실장의 변호인들은 법정을 빠져나가면서 성곡미술관에 대한 기업체 후원금을 유치한 것이 뇌물수수나 직권남용 권리행사와 같은 죄가 되는지 의문이 든다고 입을 모았다.
변 전 실장의 변호인이 법원에 제출될 부분만 1만여장에 이르는 5만여장의 수사자료를 모두 읽어보지 못했다고 말함에 따라 이날 공판은 피고인 신문까지 나아가지 않았다.
신씨와 변 전 실장의 다음 공판은 12월 3일 오전 10시 서부지법 406호 법정에서 형사1단독 김명섭 판사의 심리로 속행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