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 지난해 10대 제약사 가운데 유일하게 세금 추징 당해

2020-05-11     유성용 기자
국내 10대 제약그룹 가운데 대웅이 유일하게 지난해 세무조사를 통해 추징금을 부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0년간 10대 제약사 그룹 가운데 세금을 추징 당한 곳은 대웅과 종근당, 동아쏘시오 등 3곳에 불과한데 대웅은 2014년과 2016년, 2019년 3차례에 걸쳐 각기 100억 원 대의 추징금을 부과 받으며 가장 많은 적발사례를 기록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2010년부터 지난해까지 10년 동안 국세청 정기세무조사를 통해 추징금을 부과 받은 곳은 대웅, 종근당, 동아쏘시오 등 3 곳이다. 이들이 법인세 정기조사를 통해 받은 추징금은 총 1290억 원에 이른다.

대웅은 세무조사로 인해 추징금을 부과 받은 횟수가 3번으로 가장 많다. 금액도 441억 원으로 적지 않다. 특히 대표 계열사인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은 두 차례에 걸친 정기세무조사에서 모두 추징금 제재를 받았다.

2014년 124억 원, 2019년 153억 원을 냈다. 세무조사 기간은 2010년부터 2017년까지인데, 2012년부터 2016년은 윤재승 전 회장과 그의 형인 윤재훈 알피코프 회장이 경영권 다툼을 벌이던 시기다.

대웅바이오(대표 윤재춘·진성곤)도 2016년 164억 원의 법인세 추징금 제재를 받았다. 다만 대웅바이오는 조세심판원에 불복 심판을 제기해 영업대행업체에 지급한 수수료를 전액 접대비로 판단한 세무조사가 잘못됐다는 판결을 받고 164억 원의 추징금 중 153억 원을 되돌려 받았다.

대웅제약은 잇따른 추징금 부과에 대한 질의에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았다.

동아쏘시오홀딩스는 2013년 지주사 전환 후 동아제약(대표 최호진)과 동아에스티(대표 엄대식)에 대한 세무조사를 받았고 각각 60억 원, 646억 원의 추징금을 부과 받았다. 계열사들이 받은 추징금은 706억 원으로 10대 제약그룹 중 금액이 가장 크다.

동아쏘시오 측은 “전문인력을 보강하고 직원 교육 강화 등 세무관리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세무 전문성과 투명성을 제고했다”고 밝혔다.

종근당홀딩스(대표 황상연)는 자회사인 경보제약(대표 김태영)이 2015년 세무조사를 받고 144억 원의 추징금을 냈다. 종근당 관계자는 “윤리의식 강조프로그램을 활성화하고 컴플라이언스(CP) 전담 조직을 운영해 재발방지에 힘쓰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반해 유한양행(대표 이정희), GC녹십자(대표 허은철), 광동제약(대표 최성원), 한미약품(대표 우종수·권세창), 제일약품(대표 성석제), 보령제약(대표 안재현·이삼수), JW중외제약(대표 신영섭) 등의 그룹은 세무조사를 받았지만 추징금을 받은 내역은 없다.

유한양행은 제약사 중 처음으로 매출 1조 원을 달성한 이후인 2018년 초 세무조사를 받았다. 녹십자도 2014년과 2019년 세무조사를 받았다. 광동제약 역시 2010년과 2013년 세무조사를 받았다.

보령제약도 김은선 회장이 경영권을 승계 받은 이후 2009년과 2016년 조사를 받았다. 한미약품은 2015년, 중외제약은 2016년 세무조사를 받았다.

제약사의 세무조사는 비교적 빈번하게 이뤄지는 편이다. 업계 관계자는 “오너 일가의 경영권 승계가 잦고 불법 리베이트 이슈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기세무조사는 회사가 제출한 세무 정보를 고려해 정기적인 성실도를 분석하고 불성실 혐의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최근 4과세기간 이상 같은 세목으로 조사받지 않아 적정성 여부 검증이 필요한 경우 실시된다. 또 무작위 추출방식으로 기업이 선정되기도 한다. 전체 기업 중 세무조사가 이뤄지는 비율은 0.7~0.9%로 낮다.

한편 제약업계에서 대웅바이오, 한미약품 등은 현재 정기세무조사를 받고 있는데, 코로나19로 대면조사가 힘들어 지연되는 것으로 전해진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유성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