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금리대출도 '들먹'

2007-11-27     백상진 기자
 시중금리가 크게 오르면서 시중은행들이 장기 고정금리를 적용하는 장기모기지의 금리를 인상하거나 상품 출시를 미루고 있다.

   최장 30년간 장기로 고정금리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주택저당증권(MBS)을 발행해 대출채권을 유동화하는 방식으로 장기자금을 조달해야 하는데 시중금리 상승으로 MBS 발행 금리가 높아지거나 발행 자체가 여의치 않은 데 따른 것이다.

   27일 은행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이번주부터 금리확정 모기지론의 금리를 0.2%포인트 인상했다.

   지난달부터 판매된 이 상품의 금리는 만기별로 ▲10년 초과~ 15년 이하 연 6.5%, ▲15년 초과~ 20년 이하 6.6% ▲20년 초과~ 25년 이하 6.7% ▲25년 초과~ 30년 이하 6.75%로 각각 0.2%포인트 높아졌다.

   만기별로 10년 연 6.3%, 15년 6.4%, 20년 6.5%, 30년 6.55%를 적용하는 주택금융공사 'e-모기지론'과 같은 금리를 제시했지만 최근 조달금리가 크게 오르면서 대출금리를 올린 것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시장금리 상승에 따라 대출금리를 인상했지만 아직까지는 금리경쟁력이 있다"며 "고객이 설정비를 내거나 금리할인옵션(대출금의 0.5% 수수료 부담)을 선택하면 0.1%포인트씩 추가로 할인되기 때문에 변동금리 최저금리보다 0.2%포인트 낮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27일 현재 신한은행의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은 연 6.50~7.90%의 금리를 적용하고 있다.

   다른 은행들도 시장금리 상승에 따라 고정금리 대출의 출시를 보류하고 있다.

   우리은행은 이달 중 30년짜리 장기 고정금리 대출을 내놓을 예정이었지만 출시를 미루고 있고, 이르면 이달중 (가칭)'금리안심론'을 출시할 예정이던 농협도 시기를 조율하고 있다.

   기업은행도 금리상한 주택대출의 출시를 이번 달에서 내년 초로 연기했다.

   한편 7월말 모기지론 금리를 인상했던 주택금융공사는 당분간 금리를 유지하기로 했다.    서민 주택금융의 비중이 높은 공사 특성상 가능한 한 조달금리 인상분을 감내하겠다는 것이다.

   공사 관계자는 "4개월간 국고채 금리 상승과 국고채-MBS 스프레드 확대 등으로 조달금리가 0.6%포인트 정도 높아졌다"며 "이로 인해 금리인상 압력이 있지만 당분간 현 수준을 유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