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백혈병 신약 'HM43239' 완전관해 효과 확인"
2020-12-11 김경애 기자
HM43239는 급성골수성백혈병(AML)을 유발하는 FLT3 돌연변이(FMS-like tyrosine kinase 3 ITD 및 TKD)와 SYK(비장티로신키나제)를 이중 억제하는 시너지를 통해 AML 치료의 새 패러다임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혁신신약 후보물질이다.
이번 학회에서 한미약품은 MD 앤더슨 암센터 나발 데이버 박사(Dr. Naval Daver)와 함께 진행한 미국·한국 1/2상에 참여한 일부 환자 케이스를 선정, 발표했다.
첫 번째 환자는 AML 치료를 위해 미도스타우린(Midostaurin)을 투여한 후 반응이 없어 또 다른 치료 요법인 길테리티닙(Gilteritinib)과 아자시티딘(Azacitidine)을 투여했으나 여전히 반응을 보이지 않은 67세 여성 A환자였다.
한미약품에 따르면 A환자에게 HM43239를 투여한 후 1주기(1개월) 후에 완전관해가 확인됐으며 약 2주기(2개월) 후에 자가조혈모세포이식(Allogeneic Stem Cell Transplant, ASCT)이 가능한 조건으로 회복돼 이식을 받을 수 있었다.
두 번째 환자는 공고요법(Indcution)과 구제요법(Salvage)에도 불응성을 보인 FLT3 Wild Type의 60세 남성 B환자다. B환자 또한 HM43239 투여 후 완전관해(CRp, 혈소판 감소증은 지속)가 확인됐으며 9개월간 동일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한미약품 측은 "두 케이스 모두 골수아세포(BM Blast)의 1% 이하 감소와 동시에 관해 기준에 부합하는 ANC(호중구) 1000 이상, Platelet(혈소판) 10만 이상의 혈액 수치 회복 양상을 확인했다. 임상 도중 심각한 부작용은 발견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HM43239는 미국 FDA로부터 급성골수성백혈병 치료를 위한 희귀의약품이다.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개발단계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받은 바 있다.
한미약품 권세창 사장은 "HM43239는 급성골수성백혈병에서 흔히 발현되는 돌연변이를 표적하고 기존 치료제의 내성 극복도 가능한 강력한 혈액암 치료제"라며 "현 임상을 순조롭게 진행해 혈액암 분야 차세대 치료제로 상용화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경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