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사회단체들 "국민연금, 금융지주 공익사외이사 선임 직접 요구하라"

2021-01-25     김건우 기자
시민사회단체들이 사모펀드 부실에 따른 소비자 피해를 양산한 주요 금융회사들의 책임을 묻고 주요 금융지주회사의 정기주주총회에서 공익이사를 선임할 것과 문제이사 선임에 반대하는 입장을 발표했다.

금융산업노조와 참여연대, 한국노총 등 시민사회단체들은 25일 오후 여의도 KB금융그룹 본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1년 정기주총에서 금융지주회사 지배구조 개선을 위해 국민연금의 적극적 주주권 행사와 문제이사 선임 저지 등을 촉구했다.
 
▲시민사회단체들은 25일 오후 기자회견을 열고 국민연금이 주요 주주로 있는 금융지주, 은행의 공익이사 추천 및 선임을 요구했다.

이들은 사모펀드로 인한 피해 사건 발생의 책임은 이를 판매한 금융회사에 있으며 각 금융회사의 이사회가 경영진의 잘못된 사업운영과 리스크를 제대로 견제 및 관리하지 못한 것이 주요한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사모펀드 판매 은행과 증권사 대표이사가 금융당국 징계에도 불구하고 연임가도를 달리는 등 무책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질타했다.

김득의 금융정의연대 상임대표는 "KB증권 대표이사는 금감원 중징계를 받았지만 금융위에서 징계가 확정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연임됐고 우리금융 손태승 회장, 하나금융 함영주 부회장도 DLF 중징계를 받았지만 거부하고 소송을 진행 중"이라며 "문재인 정부 들어 인사개입을 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큰 사고를 쳐도 징계를 받아도 불복하고 소송하고 막대한 연봉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대표는 "대규모 금융사고가 발생해도 책임지고 사퇴한 은행장, 사장을 본 적이 없다"면서 "이 모든 것은 지주 회장, 은행장, 사장이 혼자 꼭두각시 이사를 선임한 결과"라고 비판했다. 

권호현 참여연대 변호사도 "2017년부터 3년 간 국내 금융지주, 은행 13곳의 이사회와 산하 위원회 안건을 분석한 결과 전체 안건의 97.2%가 원안 그대로 통과됐고 모두 100% 찬성이었다"며 "이사회가 거수기이며 내부에서 안건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주요 금융지주, 은행의 지분을 보유한 국민연금이 적극적으로 주주권을 행사해 공익 이사를 직접 추천해 선임할 것을 요구했다. 특히 노조가 추천한 사외이사 선임이 연달아 거부된 KB금융을 예로 들며 KB금융의 1대주주인 국민연금이 적극적으로 나서줄 것을 당부했다. 

박홍배 금융산업노조위원장은 "금융지주 권력은 이사회도 견제할 수 없고 금융감독기관의 견제도 필요없는 세상이 되었는데 이를 개선하기 위해 노조는 줄곧 객관적, 독립적 사외이사 선임을 위해 노력했다"면서 "국민연금은 2018년과 2020년 반대표를 던졌지만 이사회를 견제하도록 공익적 사외이사 주주제안을 국민연금이 해야한다"고 주장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건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