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넷플릭스 등 먹통되면 앞으로 한국어로 사실 알려야

2021-02-08     박인철 기자
정부가 지난해 서버 장애를 일으킨 구글에 시스템 개선과 서비스 안정 수단 확보조치를 점검하도록 요청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8일 브리핑을 열고 전기통신사업법 제22조의7을 적용해 구글에 서비스 안정성 확보 및 이용자 보호 조치를 개선하도록 했다.

개정 전기통신사업법은 하루 평균 100만 명 이상, 국내 총 트래픽 양 1%를 넘기는 부가통신사업자에 적용되는 법이다. 대상은 구글, 페이스북, 넷플릭스, 네이버, 카카오, 웨이브 등이다.

향후 장애가 발생하면 한국 이용자를 위해 구글코리아의 SNS 등을 통해 한국어로도 관련 사실을 알리도록 했다.

앞서 유튜브나 지메일 등 로그인이 필요한 구글 서비스가 지난해 12월 14일 오후 8시 30분부터 약 한 시간 가령 전 세계적으로 먹통을 일으킨 바 있다. 원인은 이용자 로그인 요청을 처리하는 '사용자 인증 시스템'의 저장 공간 부족.

구글은 장애 발생 당일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 저장 공간을 긴급 할당해 서비스를 복구했다.

과기정통부는 동일 장애 재발을 막기 위해 구글에 잘못된 설정값도 사전 감지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하도록 요청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박인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