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팜, 코로나19 백신용 LNP 약물 전달체 기술 도입

2021-04-08     김경애 기자
동아쏘시오그룹의 원료의약품 계열사 에스티팜(대표 김경진)은 제네반트 사이언스(Genevant Science)와 코로나19(COVID-19) mRNA 백신 개발 및 상업화에 필수인 LNP(Lipid Nano Particle, 지질 나노 입자) 약물 전달체 기술 도입에 관한 비독점적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계약으로 에스티팜은 한국, 일본 등 아시아 12개국에서 제네반트의 LNP 약물 전달체 기술을 이용해 코로나19 mRNA 백신을 직접 개발하고 생산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했다.

제네반트는 에스티팜으로부터 계약금과 기술이전 비용을 포함해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 및 상업화에 따른 마일스톤으로 최대 1억3375만 달러(약 1496억 원)를 받는다.

에스티팜이 이번에 도입한 제네반트의 LNP 약물 전달체 기술은 안전성·유효성이 임상으로 이미 검증됐다. 회사는 코로나19 mRNA 백신 개발 및 상용화를 신속하게 추진할 방침이다.

에스티팜 관계자는 "mRNA 백신은 변이된 염기서열만 교체하면 가장 신속하게 중화항체를 유도할 수 있는 백신 플랫폼 기술"이라면서 "에스티팜은 이번에 도입한 LNP 약물 전달체 기술을 적용해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 mRNA 백신뿐 아니라 남아공과 브라질 변이 바이러스 등에 최적화된 mRNA 백신의 자체 개발과 상업화를 검토 중이다. 앞으로도 국민의 생명을 지키고 백신 주권을 확보하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에스티팜은 mRNA 합성과 항체 생성에 중요 핵심 기술인 5프라임-캡핑(5’-Capping) 기술과 LNP 약물 전달체 기술을 국내 유일하게 확보했다. 현재 국내 특허출원을 완료하고 글로벌 특허를 준비 중이다.

5’-capping 기술로 상용화된 제품은 전세계에서 트라이링크(TriLink)의 클린 캡(Clean Cap) 외에 에스티팜의 스마트 캡(Smart Cap)이 유일하다.

스마트 캡은 트라이링크의 클린 캡보다 저렴하며 6개의 상이한 캡핑 형태를 가지고 있어 mRNA 및 siRNA를 비롯한 각종 유전자 치료제에 최적화된 유형을 선택(Capping Library Screening)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현재 에스티팜은 국내외 대형 제약사 및 바이오텍과 스마트 캡 시제품의 공급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

mRNA 대량생산을 위한 전용 GMP 공장도 증설하고 있다. 올 상반기 중에 완료되면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의 코로나19 백신의 연간 240만 도즈 mRNA 원료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회사는 연간 1억2000만 도즈 규모의 설비 증설도 검토 중이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경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