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2030년까지 15조1000억 국내 투자...차세대 배터리 기술 선도
2021-07-08 유성용 기자
대한민국을 글로벌 배터리 기술과 인재의 허브로 만들겠다는 청사진이다.
LG에너지솔루션 김종현 사장은 8일 LG에너지솔루션 오창 2공장 부지에서 열린 ‘K-배터리 발전 전략 보고대회’에서 3대 핵심 과제를 포함한 국내 투자 전략을 발표했다.
김 사장은 “닐 암스트롱이 달에 처음 발을 내디딘 것처럼 LG는 1999년 국내 최초로 리튬이온 이차전지 양산을 시작했고, 2009년 세계 최초로 현대차와 협력해 리튬이온 전지를 자동차에 적용한 이후 전세계 주요 자동차 업체로 사업을 확대해 왔다”며 “보유 특허 수 2만4000여건으로 세계 1위,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점유율 세계 1위, 생산 능력 세계 1위 등의 기록을 세우며 기술력을 증명했다”고 말했다.
LG에너지솔루션의 전기차배터리 수주잔고는 현재 기준 180조 원을 돌파했다.
김종현 사장은 차세대 배터리에서도 세계 1위를 공고히 하기 위해 ▲국내 배터리R&D 및 생산기술 삼각허브 구축 ▲LG IBT 설립을 통한 배터리 전문 인력 육성 ▲소부장 업체 협력을 통한 밸류체인 강화 등 3대 핵심 과제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김 사장은 이를 위해 “LG에너지솔루션과 LG화학은 향후10년간 R&D분야 9조7000억 원을 포함해 총 15조1000억 원을 국내에 투자하고, 국내 8000여개의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번 투자는 국내를 배터리 R&D 및 생산기술 메카로 육성하고 소재의 국산화를 가속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구체적으로 LG에너지솔루션은 차세대 배터리 기술 개발, 스마트 팩토리 구현을 위한 생산기술 확보 및 생산라인 증설 등에 12조4000억 원을 투자한다.
배터리 관련 첨단 소재 기술 개발 및 양극재 생산능력 확대에도 2조7000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우선 LG에너지솔루션은 오창2공장을 스마트 팩토리 전초기지로 육성한다. 구체적으로 2023년까지 약 37만7000㎡부지에 차세대 제품 개발을 위한 파일럿 설비를 비롯해 스마트형 공장 차세대 설비를 구축할 계획이다. 여기서 축적한 차별화 된 공정기술을 해외 생산기지에 전파할 방침이다.
마곡·과천 등 수도권 연구소는 리튬황·전고체 전지 등 차세대전지 연구개발에 집중한다. 또 신사업 인큐베이션·오픈이노베이션 거점으로 활용해 스타트업과 협업 공간을 제공할 예정이다.
김종현 사장은 “LG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 R&D 및 생산기술 삼각 허브의 유기적 운영으로 특허 등 IP(지식재산권) 확보를 늘리고 해외 생산기지에 핵심 기술을 전파할 것”이라며 “독보적인 기술력을 보유한 배터리 기업으로 자리매김해 한국이 최고의 기술 강국이 될 수 있도록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LG에너지솔루션은 차세대 배터리 전문 인력 조기 육성을 위해 오창 2공장에 LG IBT(Institute of Battery Tech)를 설립한다. 전세계 배터리 업체 중 전문교육기관을 신설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LG IBT는 오창 2공장 내 최대 400명 수용 가능한 지하 1층~지상 6층, 연면적 1만9500㎡ 규모로 지어질 전망이다. 2023년 1월 준공을 목표로 올해 11월 착공할 예정이다.
또 LG에너지솔루션은 국내 다수의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업체와 공동 개발 및 품질개선 활동 등 협력을 강화할 방침이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유성용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