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공공버스 제도, 질적 측면에서 실적 좋아"
2021-12-09 박인철 기자
경기도는 앞서 2020년 3월부터 대중교통의 공공성 강화를 위해 노선 입찰제 기반 준공영제 광역버스 ‘경기도 공공버스’를 시행 중이다.
‘경기도 공공버스’는 공공이 노선을 소유하고 입찰 경쟁으로 선정된 민간 운송사업자에게 일정 기간 운영권을 위탁하는 방식으로, 수입금공동관리형 준공영제 등 이전 방식보다 공공성을 한층 더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운송사업 수익성 저하나 코로나19 같은 외부환경 변화에도 감차·페선 등 피해 없이 ‘안정적 대중교통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는 것이 장점으로 꼽힌다.
9일 경기도에 따르면 코로나19 펜데믹이 선포된 지난해 3월에는 광역버스의 가동대수/운행횟수는 전년 동기 837대/3990회에서 762대/3395회로 떨어졌으나, 공공버스 시행 1년째인 올해 3월에는 965대/4380대로 15%/10%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올해 2~8월 전국 16개 시도의 버스 수송 인원이 작년 동기보다 29% 줄고, 매출액도 24% 준 것을 고려하면, 괄목할 만한 성과다.
동일 노선을 기준으로 지난해 민영제 운행 기간과 올해 공공버스 운행 기간을 비교할 시, 과징금 건수는 87%(47건→6건) 줄었고, 과태료 부과 건수는 40%(234건→140건)가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 같은 추세는 고객 만족도 평가에서도 나타났다. 동일 노선에 대해 민영제와 공공버스에 대한 서비스 평가를 비교·분석한 결과, 총점은 1.2점 상승했고 ‘차내 쾌적성’, ‘안전 수칙 준수’ 점수가 각각 4%, 0.6% 증가했다.
특히 경기도 공공버스가 가진 ‘경쟁 입찰을 통한 사업자 선정’, ‘영구면허가 아닌 한정적 운영권 부여’라는 특성으로 인해, 버스업체들이 자발적인 서비스 경쟁을 벌일 수밖에 없는 구조를 만든 것이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된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박인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