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유통되는 수입 조제분유, 수입가격보다 최대 4배 비싸
2022-02-28 김경애 기자
이 같은 사실은 한국소비자원(원장 장덕진)이 28일 발표한 국내 조제분유 가격과 소비실태 조사에서 확인됐다.
소비자원은 2019년부터 지난해 6월까지 최근 2년 6개월간 수입 조제분유의 최고·최저 수입가격, 4분위별 평균 수입가격, 평균 국내 판매가격을 분석했다. 그 결과 국내 판매가격은 지난해 상반기 기준 1kg당 평균 4만8078원으로 평균 수입가격(2만625원)의 2.33배로 집계됐다.
최고 가격대에서는 1.82배 높았으나 최저 가격대에서는 4.11배 높은 수준이었다는 설명이다.
한국과 유럽연합(EU, European Union)의 FTA는 2011년 7월 발효됐는데, 이행 10년간 통관가격 인하율은 평균 3.6%였다. 지난해 7월 1일자로 관세는 완전 철폐됐다.
EU산 통관가격 변화율의 경우 이행 8년차인 2018/2019년은 이전 대비 -4.1%, 이행 10년차인 2020/2021년은 -8.7%로 크게 낮아졌다. EU산 관세 절감액도 2019년 49억 원에서 2021년 6월 48억9500만 원으로 줄었다.
그러나 최근 3년간 EU산 조제분유의 국내 판매가격은 원산지별로 가격 인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독일·프랑스·오스트리아산은 지난해 상반기 가격이 2020년 대비 5.0%~10.8% 인하된 반면, 네덜란드산은 6.8% 상승했다.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들이 최근 구매한 조제분유는 51.6%가 국내산 제품으로 나타났다. 수입 조제분유는 독일산(21.4%), 뉴질랜드산(13.0%), 네덜란드산(4.6%) 순이었다.
조제분유에 대한 불만으로는 교환·환불의 어려움(32.2%), 안전과 위생 문제(31.4%), 정보 부족으로 인한 오사용·섭취(30.2%), 품질 하자(22.0%) 등이 있었다.
소비자원 측은 "앞으로도 주요 소비생활 밀접 품목의 판매가격과 유통구조를 지속 분석해 소비자 구매 선택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김경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