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리인상에 금융지주 계열 보험사들 지급여력비율 뚝...푸르덴셜 280%, KB손보 162%
올해 1분기 실적을 발표한 금융지주 계열 보험사의 지급여력(RBC)비율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리 인상에 따라 보유 채권의 평가가치가 줄어든 것이 원인으로 꼽힌다.
KB금융 계열의 푸르덴셜생명은 지급여력비율이 280%에 달한 데 비해 KB손해보험은 160%대에 그쳐 대조를 이뤘다.
RBC 비율이란 보험회사가 가입자에게 보험금을 제때 지급할 수 있는지 나타낸 것으로 비율이 높을수록 재무 건전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험업법에서 100% 이상을 유지토록 규정하고 있는데, 현재 금융당국은 보험사를 대상으로 150% 이상을 권고하고 있다.
27일 각 금융지주 1분기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푸르덴셜생명(대표 민기식)과 신한라이프(대표 성대규), 하나생명(대표 이승열), KB손해보험(대표 김기환) 등 금융지주 계열 보험사 4곳의 지급여력비율은 전년 동기에 비해 일제히 하락했다. 다만 4개사 모두 권고 기준치인 150%를 전부 넘겨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
4개사 가운데 지급여력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KB금융지주 계열사인 푸르덴셜생명으로 올해 1분기 기준 280.7%를 기록했다. 이어 신한라이프가 255%, 하나생명이 171%를 기록했다. KB손해보험이 162%로 가장 낮았다.
지급여력비율이 가장 많이 떨어진 곳은 푸르덴셜생명으로 지난해 1분기 342%보다 무려 61%포인트나 하락했고, 신한라이프와 하나생명이 29%포인트로 비슷한 낙폭을 보였다.
지급여력비율이 가장 낮은 KB손해보험은 전년 동기에 비해 17%가 하락했다.
신한라이프 관계자는 "금리가 인상에 따른 가용자본 감소영향으로 RBC가 소폭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업계에 따르면 장기 국고채 금리가 0.1%포인트 오를 때 RBC 비율은 1~5%포인트 정도 하락할 것으로 추정된다. 10년물 국채 금리는 지난해 말 2.25%에서 올해 3월 말 기준 2.97%로 0.72%포인트 뛰었다.
이로인해 지난해 말 기준 전체 보험사의 지급여력비율은 평균 246.2%로 높은 수준이었지만 올해는 모든 보험사의 지급여력비율 하락이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중소형 보험사의 경우 당국 권고 수준 이하로 떨어져 건전성 타격을 면치 못할 것으로 보여진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금리 인상으로 각 보험사는 후순위채 발행과 신종자본증권 발행, 유상증자 등 자본확충에 힘 쓰고 있는 상황"이라며 "얼마전 당국 차원에서 각 보험사 최고경영자를 소집해 간담회를 개최하는 등 건전성 대비에 박차를 가하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소비자가만드는신문=이예린 기자]